> 담론방 > 학고재


 
작성일 : 14-03-05 10:16
[친필봉명유서] 단주수명
 글쓴이 : 칠현금
 
丹朱受命 靑天雁 畵閣人其像籠鴻 色擧用色 胡亥虛亡
夫政也者柔浦蘆也 漢水濱含蘆飛行 飛鴻得意天空濶
[譯] 단주수명이라. 청천에 기러기요, 누각에 사람인데, 그 상이 농홍이라. 색이 다하여 다시 단장을 하니 호해는 허망하다. 무릇 정사라는 것은 부드럽기가 물가의 갈대와 같아서 한수 가에 갈대꽃 흩날리니 비홍이 득의하여 천공을 활주하느니라.
 
1. 기러기가 상징하는 의미는 소호씨의 鳥師관작과도 연관 지어 볼 수도 있다.
 
2. 수명(受命) : 천명을 받음. 여기서는 수명을 수명(壽命)을 받는 것으로 정의하여 둔다.
 
이는 선천의 용어로는 천자가 된다는 뜻이지만, 상고역사의 관점에서 보면 이와는 무관하다. 상나라가 帝를 칭하다가 얼마 후 망하였는데, 초기 상나라에서 군주는 상제에게 제사를 지내다가 후기로 가면서 帝는 하늘을 관장하는 천제와 땅을 통치하는 상제로 이분화되어 상나라의 돌아가신 왕이 상제가 된다. 시경에서 上帝, 帝, 天이 혼용됨은 이러한 이유이다. 이는 천지의 위격질서에 대한 반역이며, 천명으로 상나라가 망한 것으로 보인다.
 
상나라의 멸망은 당시의 천시(天時)가 조상을 상제와 동일시 한 주(紂)임금에 대하여 천도에 대한 반역으로 보았다는 것이며, 천지공사 상에서 “천자를 도모하면 죽는다”는 상제님의 말씀은 바로 이에 대한 도수를 공사로 정하였기 때문에 누구도 이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이다.
 
좌언동의 <중국 고대국가의 수뇌의 칭호>에는, ‘고대 중국의 최고 수뇌에 대한 칭호는 맨 처음에는 후(后)라 하였고 나중에 왕이라 하였으며, 진시황 때 비로소 황제(皇帝)란 말이 생겼다’고 한다.
 
중국의 신화연구에 독보적인 학자인 원가(袁珂)는 중화종족의 시조 황제(黃帝)와 관련하여 이렇게 말했다. 황제는 염제보다 약간 뒤늦게 출현한 일개 대신(大神)으로, 고서에도 황제(皇帝)로 썼으나 그 의미는 사실 황천상제(皇天上帝)라는 뜻이다. 帝자는 시경 서경 역경과 갑골문 종정문(鐘鼎文)에 나오는데, 원래 상제(上帝)를 가리키는 말이다. 皇은 또 帝의 형용사로 帝가 광휘하고 위대하다 꾸민다. 예컨대 <詩 大雅 皇矣>에서 말하는 皇矣上帝라든가, <小雅 正月>에서 말하는 有皇上帝라든가, <魯頌 閟宮>에서 말하는 皇皇后帝와 같은 것들은 모두가 다 상제의 장엄하고 위대한 것을 찬미하는 것과 다름 아니다. 옛날 國君은 모두 帝라 칭하지 않았다. 주대에 비로소 왕이라 하기 시작하여, 문왕 무왕에서 진(秦)나라에 멸망당한 마지막 난왕(赧王)에 이르기까지 모두 오직 왕이었다.(중국고대신화, 화하출판사, 94p)
 
원가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주(紂) 임금 때에 이르러 상(商)의 왕들이 제(帝)라는 칭호가 붙으면서 帝乙, 帝辛 등의 기록 흔적이 남겨진 것으로 보인다. 종교학대사전의 삼명설에 따르면, “수명(受命)이라는 것은 효경위원신계(孝經緯援神契)에 〈연수(年壽)를 말한다〉라고 되어 있듯이 수명(壽命)을 말한다”라고 한다.
 
3. 안(雁) : 기러기. 가을. 자오선. 정처없이 떠돌아 다님. 건곤의 방향을 알려줌. 믿음과 상서로움. 전령.
 
안(雁)은 작은 기러기, 홍(鴻)은 큰 기러기로 칭하는데, 鴻이 붕새나 봉황(鵬·鳳)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그러한 뜻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왕오천축국전에 혜초가 지은 시에서도 기러기가 전령의 의미로 등장한다.
달밤 남천축국 길 위에서/둥실둥실 떠가는 구름을 보노라/너 가는 편에 편지 한 장 부치노라/내 나라는 하늘 저 동쪽 아득한데/남의 땅 대지 서쪽 끝에 와 있으니/여기선 기러기조차 보지 못하누나/그 누가 날 위하여 고국 소식 전해주랴
 
4. 화각인(畵閣人) : 화각은 단청한 누각을 말한다. 누각에 모셔진 사람의 의미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누각을 지키는 사람의 의미이다. 
 
참고로, 한(漢)나라 남궁(南宮) 안에 운대(雲臺)라고 하는 누대(樓臺)가 있는데 후한(後漢) 명제(明帝)가 선대(先代)의 공신을 추념하여 등우(鄧禹) 등 28명의 장수의 화상을 이곳에 안치한 것이 화각에 모셔진 28장이다.
 
5. 롱홍(籠鴻) : 롱(籠)은 쌓아놓은 돌을 가리키기도 하고 대나무로 엮은 새장을 말하기도 하는데 차곡 쌓아졌다는 의미이기도 하여 자리 잡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동할 수 있는 기러기라는 의미도 된다. 여기서는 새장 속의 새의 의미로 본다. 누각을 지키는 누각인이 롱홍이다.
 
6. 색거용색(色擧用色) 호해허망(胡亥虛亡)
-색거(色擧) : 얼굴 모습을 띄움. 擧는 제사지냄의 의미이기도 함. 위태로움에서 미리 떠남을 의미.
-용색(用色) : 음양이 만나서 색을 낸다는 의미. 빛이 바뀐다는 의미.
 
‘고전번역총서, 이상하 (역), 2009’에, <논어(論語)〈향당(鄕黨)〉에 “새가 사람의 기색을 보고 날아올라 한참을 빙빙 돈 뒤 내려와 앉는다.[色斯擧矣 翔而後集]” 한 데서 온 말로, 사람이 해칠까 조심하는 것을 뜻한다>라고 주를 달아 색거(色擧)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청천안(靑天雁)은 청조이며, 농홍은 백조이다. 농홍이 날아오르니 호해가 망한다는 의미이다.
 
- 호해(胡亥) : 진나라 2세 황제. 녹도서를 잘 못 해석한 진시황에 의한 비극.
사기 <이사열전>에 따르면, 조고가 궁밖의 위사들을 백의로 갈아입혀 놓고 궁으로 들어가 호해에게 도적이 쳐들어오고 있다고 한다. 호해는 누각에 올라가서 보니 흰 옷 입은 사병들이 마치 하늘에서 내려온 것 같이 서 있다. 대경실색한 그에게 조고는 칼을 꺼내어 자결할 것을 권유한다. 호해가 죽은 후 조고는 옥새를 차고 함양궁으로 돌아와 등극하지만, 백관들이 따르지 않았고, 그가 대전에 오르려 하자 대전이 지진이 일어난 것처럼 흔들렸고 곧 무너질 것 같았다. 이후 자영이 조고를 죽인다.
 
7. 비홍(飛鴻) :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명당. 여기서는 보상(輔相)에 해당하는 재상으로 해석하여 진리의 참 모습을 드러내는 백안(白雁)의 비홍(飛鴻)으로 해석한다.
 
《예기》 곡례(曲禮)에 ‘앞에 거기(車騎)가 있으면 비홍(飛鴻)의 그림을 내건다.’고 한 대문의 기(騎)자에 대해 설자(說者)는 《좌전(左傳)》 소공(昭公) 25년의 “좌사(左師) 전(展)이 공(公)과 함께 말을 타고 돌아가려고 한다.”는 대문을 인용하여, 기(騎)가 있다는 증거는 되지만 경전(經典)에 없기 때문에 주(周) 나라 말엽의 예(禮)라고 하니, 소진(蘇秦)이 말한 ‘수레 천 승과 말 만 필[車千乘騎萬匹]’이라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주역》 계사(繫辭)에 ‘복우승마(服牛乘馬)’라 하였는데, 복(服)이 곧 무거운 것을 끌어당기는 것[引重]이고 보면 승(乘)은 말탄다[騎]는 승이 아니겠는가? 또 상고할 만한 것이 있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저 높은 산을 오르려도 내 말이 병들어 피로하도다.” 하였는데, 최외(崔嵬)니 고강(高岡)이니 하는 곳을 차를 타고 갈 수는 없을 것이니, 말[騎]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성호사설)
 
비홍은 ‘수레 천 승과 말 만 필[車千乘騎萬匹]’을 부리는 재상을 말하는 의미이다.
 
비홍에 대한 고사로 황희정승의 조부 황균비(黃均庇)의 묘에 대한 도선국사와 나옹선사의 이야기가 있다. 88고속도로 남원 나들목에서 내려 남원에서 순창 가는 24번 국도로 갈아타고 비홍(飛鴻)재를 넘으면 풍계서원이 있는 전북 남원시 대강면 풍산리 산촌마을인데, 이 마을 뒷산 중턱이 풍수가들에게 널리 알려진 명당묘가 하나 있다. 바로 황희(黃喜) 정승의 조부인 황균비(黃均庇)의 묘다. 도선국사가 비홍치(飛鴻峙)에 이르러 탄식하며 "홍곡단풍형(鴻鵠斷風形)은 여긴데 淸相(청빈한 재상)은 어디 있는가?"라고 했다 하며, 나옹선사는 ‘蘆가 안산이 되어 飛鴻이 명당’이어서 묘를 쓰되 송악으로 이사할 것을 권했다 한다.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명당이 비홍이다.
 
o 계곡집(谿谷集) > 계곡선생집 제33권 > 칠언 절구(七言絶句) / 비홍관 운(飛鴻館韻)
호남 고을 갈대밭 추색이 완연 / 蒹葭秋色滿湖州
오랜 길손 다급한 일정 아직도 퍼질러 앉았어라 / 久客嚴程尙滯留
부러울손 저 기러기 아무런 걸림 없이 / 却羨飛鴻無罣礙
추워지면 따뜻한 곳 마음대로 찾아가니 / 違寒就暖摠便謀
 
위 계곡집의 비홍관 시문에서 비홍은 갈대밭의 가을 풍경과 어울려 풍수 명당론과 같이 갈대와 기러기의 짝으로 쓰이고 있다. 설원(說苑)〈담총(談叢)〉에 “순풍을 타고 날아 기력을 돕고, 갈대를 물고 날아올라 주살을 피한다.〔順風而飛 以助氣力 衘葭而翔 以備矰弋〕”라고 하여, 역시 갈대는 기러기에게 매우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의미이다.
 
8. 득의(得意) : 뜻이 이루어짐
 
 
[해석] 단주가 명을 받으니, 파란 하늘에 기러기 줄지어 날고 단청한 누각에 있는 사람은 그 형상이 새 장속의 기러기와 같다. 롱홍(籠鴻)이 기색을 보고 천공을 날아올라 짝을 지으니 호해는 허망하다. 대저 정사(政)라는 것은 부드럽기가 물가의 갈대이거늘, 漢水 가에 갈대꽃이 흩날리니 비홍(飛鴻, 輔相)이 득의하여 천공을 활주하느니라.
 
연약한 柔浦蘆가 가을이 되어 함로(꽃핀 갈대)가 되어 꽃을 흩날리니 비홍(보상, 정승)이 득의하여 천공을 활주하는 형국이라는 의미-세상이 바뀌어 새로운 인물이 비상함을 말한다.
 
 
이 구절의 해석은 매우 복잡하다. 첫째는 단주수명이고, 두 번째는 기러기이다. 청천안(靑天雁)과 농홍(籠鴻)과 비홍(飛鴻)이다. 그리고 화각인(畵閣人)이다. 단주수명이 기러기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며, 화각(단청한 누각, 궁전)의 사람이 색거용색(色擧用色)한다는 것이다. 색거용색(色擧用色)은 다중적 해석이 필요하다. 뜻이 매우 복잡하다는 것이다. 전체적인 줄거리는 단주가 천명을 받으니, 청천의 기러기가 이를 의미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화각안의 사람은 새장 속의 새와 같은 기러기(鴻)의 형상이다.
 
문자영모도신.png문자영모도신2.png문자영모도신3.jpg

기러기는 문자모영도나 고사를 참고할 때, 믿음(信)을 상징하고 서신을 전달하는 전령의 의미가 있다. 40000km를 날아서 이동하는 철새이며, 남북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전지구적 메신저로서 자오선 혹은 건곤정위의 의미로 해석된다. 기러기라는 새의 의미는 소호금천씨의 조사(鳥師) 관직을 연상하게도 한다.

* 본 게시글의 무단복제게시를 금합니다. 

※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칠현금 13-12-19 02:22
 
이 부분이 워낙 내용이 방대해서 주를 다는 것에 최대한 충실하려고 하였고, 기존의 일부 해석을 반영하여 두었으며, 향후 되어가는 일에 대한 것은 가능한 한 때가 되면서 이해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원형이정 13-12-19 08:40
 
" 상나라가 帝를 칭하다가 얼마 후 망하였 는데, 초기 상나라에서 군주는 상제에게 제사를 지내다가 후기로 가 면서 帝는 하늘을 관장하는 천제와 땅을 통치하는 상제로 이분화되 어 상나라의 돌아가신 왕이 상제가 된다. 시경에서 上帝, 帝, 天이 혼 용됨은 이러한 이유이다. 이는 천지의 위격질서에 대한 반역이며, 천명으로 상나라가 망한 것으로 보인다. 

상나라의 멸망은 당시의 천시(天時)가 조상을 상제와 동일시 한 주( 紂)임금에 대하여 천도에 대한 반역으로 보았다는 것이며, 천지공사 상에서 “천자를 도모하면 죽는다”는 상제님의 말씀은 바로 이에 대한 도수를 공사로 정하였기 때문에 누구도 이를 벗어나지 못한다 는 것이다." 

위의 이 관점이 천도의 입장에서, 상제님의 입장에서 은나라 주왕에 대해 그리고 지금 상제님 강세 후 도운의 지도자들에 대해 벌을 하는 근본 원인, 죄명이었을까? 를 살펴보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폭군 주가 패망한 것이 과연 그 조상들을 상제라 칭해서 그런 것이었나? 
이는 그간 처음 들어보는 관점입니다. 
다 알다시피, 우리는 주왕이 통치자로서 패악을 행하였기에 문왕 무왕이 나오고 강태공이 나와 그를 벌하고 망한 것이라 보고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칠현금님이 말씀하신 조상에 대한 상제 참칭의 죄를 범한 경우 다 저렇게 패망하였나도 살펴봐야 한다고 봅니다. 
진나라 진시황의 경우 그 스스로 시황제라 했으니 그 아들 호해에 가서 망한 건 더 따져볼 필요고 없을 것 같구요. 

한데, 여기서 '황제'라 칭한 것을 상제로 참칭했다고 볼 수 있는가? 의 문제도 있을 것 같군요
원형이정 13-12-19 09:40
 
위 글에서 '황제'란 뜻도 상제를 뜻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진시황 이후로는 모든 통치자들이 황제라 칭하지 않았는지.... 그럼 그들이 다 벌을 받았냐.... 하는 문제. 

또한 황제의 본 뜻은 상제를 뜻하지만, 인간세상에서의 황제는 하늘 '옥황상제의 대리자'로서 쓰였는데, '천자'라는 용어 또한 마찬가지구요. 이렇게 황제란 용어가 인간세상을 다스리는 인간통치자를 부르는 일반명사로 굳어진 이후엔 황제로 칭해도 죄가 되지 않은 것이었는지..... 

환단고기에 보면 단군을 비롯한 통치자들을 '제'라고 다 표현하고 있는데, 게다가 환인의 경우 민족사하자들을  비롯 이 종단에서는 '환인천제'라고 호칭하는데, 이런 호칭사용에는 문제가 없는 것인지. 

또한 상제님께서 천자를 도모하는 자는 다 죽으리라 하셨지만, 우리나라가 천자국이 됨을 말씀하셨고 천자신이 넘어온다고도 하셨고..... 그런 의미에서 볼 때, 후천에 천자가 있지만 천자가 될 자격이 없는 자들이 천자를 도모하고 상제를 칭하는 자들은 다 죽는다.... 이렇게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은지....
     
칠현금 13-12-19 10:33
 
부도지를 보면 해모수 이후에 읍루씨가 부도를 봉인합니다. 
환단고기에서 단군에게 帝를 붙힌 것은 후대의 조작입니다. 

흔히들 문왕도수에서도 문왕을 두고서 이게 천자도수인줄로 아는데, 
문왕이 칭제한 적이 없습니다. 그냥 상나라의 제후였을 뿐입니다.
     
칠현금 13-12-19 10:40
 
당시의 천도(天道)가 그렇게 하면 안된다고 해서 징벌당한거라는 해석.
해롱대사 13-12-20 20:35
 
기러기는 문자모영도나 고사를 참고할 때, 믿음(信)을 상징하고 서신을 전달하는 전령의 의미가 있다. 

상세하게 설명을 붙여주니 읽는데 힘이 들어갑니다. 감사 드립니다.

 
 

Total 153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87 황제음부경 제 3장 성유(性有) 칠현금 03-05
86 황제음부경 제 2장 천성(天性) 칠현금 03-05
85 황제음부경 제 1장 관천(觀天) 칠현금 03-05
84 음부경(陰符經) 연재를 시작하며 칠현금 03-05
83 피란동공사 심층분석-시경 벌가장과 혁명공사 칠현금 03-05
82 피란동공사 심층분석-지천태와 안내성의 정음정양 칠현금 03-05
81 피란동공사 심층분석-우물과 댓가지의 의미 칠현금 03-05
80 연맥제 육임조직의 사수 도제 개념에 대한 소고 (1) 칠현금 03-05
79 중화경 완역주해를 마치면서 (1) 칠현금 03-05
78 중화경 76~78장 향수 03-05
77 중화경 72~75장 향수 03-05
76 중화경 71장 (1) 향수 03-05
75 중화경68~70 향수 03-05
74 [친필봉명유서] 혁명의 예시 칠현금 03-05
73 [친필봉명유서] 남방3리화와 도통 칠현금 03-05
72 중화경 66~67장 향수 03-05
71 [친필봉명유서] 천문음양정사의 6기초와 육임 칠현금 03-05
70 [친필봉명유서] 천하사 선후천 수리의 의미 칠현금 03-05
69 향수 / 중화경61~65장 (1) 고서실장 03-05
68 [친필봉명유서] 기러기가 전하는 소식 칠현금 03-05
67 [친필봉명유서] 단주수명 칠현금 03-05
66 향수 / 중화경56~60장 (1) 고서실장 03-05
65 향수 / 중화경51~55장 고서실장 03-05
64 중화경 46~50장 (1) 향수 03-05
63 [친필봉명유서]혁명의 깃발 서신사명기 칠현금 03-05
62 [친필봉명유서] 일명 단주수명서에 대하여 칠현금 03-05
61 중화경41~45장 (1) 향수 03-05
60 중화경 36~40장 (1) 향수 03-05
59 [옥산진첩] 주역 괘상과 혁명 칠현금 03-05
58 [옥산진첩] 인사문제의 결론, 문왕과 이윤의 도수 칠현금 03-05
57 중화경33~35 향수 03-05
56 [옥산진첩] 천하사를 말한다 칠현금 03-05
55 중화경31~32장 귀신 은 천리의 실상 향수 03-05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