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5-06-20 14:45
인仁의 두 가지 정의와 “가인지리可仁之理”
 글쓴이 : 선유도
 


인仁의 두 가지 정의와 “가인지리可仁之理”


이러한 두 종류의 윤리적 상황을 바탕으로 다산은 공자의 인仁에 대
해 “모든 사람이 자신의 도道를 다하는 것”과 “두 사람 사이의 도道를 
다하는 것” 등 두 가지 기본 정의를 도출하게 된다. “자신의 도道를 다
하는 것”은 “인은 자신에 의해서 하는 것이다[爲仁由己]”를 강조하고, 주
체가 마땅히 해야 하는 본분을 중시하여 “완선完善”의 개념에 가깝다. 
“두 사람 사이의 도道”는 주, 객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본분
이며 “평등”, “정직”에 가까운 개념이다. 

다산의 인仁에 한 이 두 가지 정의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이 나올 
수 있다. “사람 자신의 도道”와 “두 사람 사이의 도道”는 같은 하나의 도
道인가? 다른 두 개의 도道인가? “도道”와 “이분(理分, 이의 분할)”의 관계
는 어떠한가? 등등. 다산은 비록 이런 문제를 직접 답하지 않았지만, 
그의 “성기호설”을 통해 그가 “사람이 자신의 도道를 다하는 것”과 “두 
사람 사이의 도道를 다하는 것”에서 얘기하는 도道는 같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이 도道는 사람의 마음[心]이 의식하고 기호嗜好할 수 있는 
“보편적인 도덕원칙”이다. 다산은 이러한 “보편적 도덕원칙”을 “가인지
리(可仁之理, 인할 수 있는 이)”라고 불렀다. “가인지리”에 한 다산의 설
명을 보자. 

인仁이 밝히지 않은지 오래다. 인仁을 할 수 있는 리理은 본심本心에 있다. 
시경의 “백성의 타고난 마음은 아름다운 덕을 좋아한다.[民之秉彛, 好是懿
德]”는 것이 바로 이 말이다. 인을 행하는 뿌리는 본심에 있다. 맹자가 이르
기를,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은 인의 발단이다[惻隱之心, 仁之端也]” 인
의 이름은 반드시 일을 행한 후에야 이룰 수 있다.[仁之不明久矣. 可仁之理, 在 
於本心,《詩》云‘民之秉彝, 好是懿德’, 是也. 行仁之根, 在於本心, 孟子云‘惻隱之心, 
之端’, 是也. 若仁之名, 必待行事而成焉]

허령虛靈한 본체로 얘기할 때 체大體라고 부른다. 체에서 발생한 것을 
얘기할 때 도심이라고 한다. 체의 호오를 얘기할 때 성이라고 한다. 사람
이 처음 태어날 때 하늘이 허령한 본체 속에 덕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성을 부여했다는 얘기지, 성이 곧 본체라는 것이 아니다. 성이란 기호하는 
것 혹은 혐오하는 것으로 이름 붙여진다.[以虛靈之本體而言之, 則謂之大體, 以
大天於生人之初, 賦之以好德恥惡之性於虛靈本體之中, 非謂性可以名本體也. 性也者, 以
嗜好厭惡而立名]
體之所發而言之, 則謂之道心, 以大體之所好惡而言之, 則謂之性. 天命之謂性者, 謂

이상 두 문장에서 네 가지 주목할 만한 논점이 있다. 

(1) “허령본체虛靈本體”, “본심本心”, “도심道心”, “체大體” 등 어휘는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로 모두 “인심”이 “성”의 “기호”를 따르고 “성”의 
판단 기능을 따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을 “각종 욕망의 집 
합장소”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마땅히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
는” 보편적 도덕원칙으로 이해해야 한다. 

(2) “성性이 곧 본체라는 것이 아니다”, 이 말의 뜻은 “성/심”은 주희
의 “리/기”, “체/용”의 틀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체용론으로 
볼 때, “심”은 성리性理의 용用이므로 단지 리를 따를 수만 있지 리를 
거역할 수 없다. 하지만 현실 상황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다산은 “성”
을 “본체”로 보지 않고, “심”이 선을 향하고 악을 멀리하는 “기호嗜好”
를 따라서 형성된 “허령虛靈의 심”을 “본체”로 본다. 즉, 다산이 얘기하
는 “본체”는 존재론적인 “본체”가 아니고 “도덕적 활동”으로서의 “본체”
이다. 다시 말해, 다산의 학설에서 “본심本心”, “허령지심虛靈之心” 등 
념이 강조하는 것은 도덕적 토론, 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는 “도덕 행위
자(moral agent)”이며, 존재론적 의미의 “도덕적 주체(moral subject)”는 아니
다. 존재론에서 사람을 논할 때 “천리”의 측면이 있다고 얘기하기 때문
에, 사람의 “도덕적 주체”의 “순수한 천리만 있고 인욕의 사사로움은 추
호도 없는[無一毫人欲之私]” 경지를 논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천리(天理)”학설은 사람의 도덕적 사고를 “마음이 혼탁하여 천리를 가
리지 않을까”, “행위는 과연 천리에 부합한가”와 같은 방향으로 이끌게 
된다. 때문에 “천리”는 존재론 혹은 도덕적 사고를 할 때의 곤란한 점이 
된다. 다산은 아마도 이런 곤란함을 의식하였기 때문에 “도덕 행위자”
가 생각해야 하는 중점은 “천리”가 아니라 “심”, “성” 및 “타자” 간의 상
호관계라고 강조한 것이다. 그리고 “도덕 행위자”를 논한다면, 사람이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도덕 행위
자”는 감정적인 생명, 욕망과 이익이 공존하는 세계에서 선을 추구하고 
악을 멀리하는 도덕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덕 행위자”도 
“이익 추구”라는 요구를 회피할 수 없다.

(3) 다산은 “도덕 행위자”가 사회적 맥락에서 “서로 베푸는” 과정을 주
희보다 더 강조하였지만, 그가 도덕 행위의 바탕에는 “보편적 도덕원칙”
이 존재한다는 것을 반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만약 “보편적 도
덕원칙”이 없을 경우 도덕적 행위와 일반 행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산은 구체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보편적 도덕원칙”을 “가
인지리可仁之理”라고 부른다. 다산이 “인仁의 이름은 반드시 일을 행한 
후에야 이룰 수 있다”라고 말한 것은, 인仁은 반드시 구체적 행위(실천)
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 구체적 행위가 인仁이라고 칭할 수 
있는지는 “가인지리”로 판단해야 한다. 따라서 성性에서 도출된 “가인
지리”는 인仁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형식적 원칙이다. 

(4) “도덕 행위자”는 이익적 요구가 있으므로, “가인지리”로 인仁 여부
를 검증할 때 그 중점은 “공리적 효용”이 아니라 “보편적 도덕원칙”에 부
합하는지를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의 네 가지 설명으로 알 수 있듯이, 다산이 얘기한 “성性”과 “가
인지리”는 모두 형식상의 보편적 도덕원칙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보편적 도덕원칙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의 답은 다산의 
말을 참고할 수 있다. 다산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인仁이란 인륜의 덕
을 이루는 것이다. 서恕란 인仁을 이루는 방법이다. …… 자기가 원하지 
않는 일은 남에게도 하지 말라.” 다산이 얘기한 “인仁을 이루는 방법”
은 “인仁이냐 아니냐”를 검증하는 원칙으로 보아도 무방하고, 이 검증 
원칙은 바로 《논어》에서 얘기한 “자신이 원하지 않으면 남에게도 하지 
말라”는 “서도恕道”이다.

다산이 “서恕”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그가 《논어》의 “충서忠恕”의 
도道를 논할 때도 주희의 해석과 다르다. 주희는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 
集注》에서 “충忠”을 “자기를 다하는 것[盡己]”, “서恕”를 “자신을 미루어 
헤아리는 것[推己]”으로 설명하였다. 다산이 보기에는 “나 혼자라면 충
忠도 존재할 수 없다. 자신을 다하고 싶어도 착수할 곳이 없다”, 따라서 
“충서忠恕” 두 글자는 마땅히 “추기推己”인 “서恕”를 위주로 해야 할 것
이다. 그래서 그는 “서恕가 근본이고 이를 행하는 수단이 충忠이다”, “충 
忠이 나올 때 서恕는 이미 존재한지 오래다”라고 하는 것이다.


다산의 “충서”에 한 설명에서 그는 “도덕 행위자”의 “상”의 문제
를 특히 강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도덕적 상황, 윤리적 정황에 반
드시 하나의 상이 있어야 하고, 설사 “두 사람이 서로 베푸는” 상황
이 아니더라도 “사람을 지향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다산의 “충서”
에 한 설명을 근거로 추론해보면, 그가 얘기한 “모든 사람이 자신의 
도道를 다하는 것”과 “두 사람 사이의 도道를 다하는 것” 중의 도道는 
사실 “하나의 도”이고, 이는 “기소불욕己所不欲, 물시어인勿施於人[자기가 
원치 않으면 남에게도 하지 말라]”의 원칙으로 통괄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가 말하는 “이분理分”은 이 원칙으로 구체적 사물을 검증한 후 형성된 
규범적인 사고에서 나오는 것이다.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 국민은행 474901-04-153920 성사재인(김갑수)



선유도 15-06-20 15:03
 
可仁之理
인할 수 있는 이
창호지구멍눈 15-06-20 17:20
 
다산의 인仁에 한 이 두 가지 정의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이 나올
수 있다. “사람 자신의 도道”와 “두 사람 사이의 도道”는 같은 하나의 도
道인가? 다른 두 개의 도道인가? “
창호지구멍눈 15-06-20 17:21
 
인仁이 밝히지 않은지 오래다. 인仁을 할 수 있는 리理은 본심本心에 있다.
시경의 “백성의 타고난 마음은 아름다운 덕을 좋아한다.[民之秉彛, 好是懿
德]”는 것이 바로 이 말이다.
등대 15-06-20 18:27
 
허령虛靈한 본체로 얘기할 때 체大體라고 부른다. 체에서 발생한 것을 얘기할 때 도심이라고 한다.
꿈이였어 15-06-20 19:57
 
천리(天理)”학설은 사람의 도덕적 사고를 “마음이 혼탁하여 천리를 가 리지 않을까”,
“행위는 과연 천리에 부합한가”와 같은 방향으로 이끌게 된다.
사오리 15-06-20 20:12
 
뛰어난 재주를 갖고 있더라도 서툰 것처럼 행동하고, 지혜롭고 총명하
더라도 그것을 드러내 자랑하지 않으며, 청렴결백하더라도 세상과 원만
하게 어울리고, 한 걸음 물러서는 것으로 나아갈 발판을 삼는 것은, 진
실로 세상의 거친 파도를 건넌는 데 있어 천금값어치의 표주박과 같
은, 그리고 몸을 보전하는 데 있어 영리한 토끼가 파놓은 세 개의 굴
과 같은 훌륭한 방편이 된다.
나팔소리 15-06-20 20:29
 
다산이 “서恕”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그가 《논어》의 “충서忠恕”의
도道를 논할 때도 주희의 해석과 다르다.
그때그모습 15-06-21 14:31
 
. 다산은 구체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보편적 도덕원칙”을 “가
인지리可仁之理”라고 부른다. 다산이 “인仁의 이름은 반드시 일을 행한
후에야 이룰 수 있다”라고 말한 것은, 인仁은 반드시 구체적 행위(실천)
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아사달 15-06-21 19:46
 
사람이 처음 태어날 때 하늘이 허령한 본체 속에 덕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성을 부여했다는 얘기지, 성이 곧 본체라는 것이 아니다. 성이란 기호하는
것 혹은 혐오하는 것으로 이름 붙여진다.
지고이바이젠 15-06-21 21:09
 
늘 좋은 글 올려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현포 15-06-21 22:37
 
“인仁이란 인륜의 덕을 이루는 것이다. 서恕란 인仁을 이루는 방법이다. …… 자기가 원하지 않는 일은 남에게도 하지 말라.” 다산이 얘기한 “인仁을 이루는 방법은 “인仁이냐 아니냐”를 검증하는 원칙으로 보아도 무방하고, 이 검증 원칙은 바로 《논어》에서 얘기한 “자신이 원하지 않으면 남에게도 하지 말라”는 “서도恕道”이다.
산백초 15-06-22 09:41
 
다산의 “충서”에 한 설명에서 그는 “도덕 행위자”의 “상”의 문제
를 특히 강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도덕적 상황, 윤리적 정황에 반
드시 하나의 상이 있어야 하고, 설사 “두 사람이 서로 베푸는” 상황
이 아니더라도 “사람을 지향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Total 9,90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2876 노무현이 조xx목사 혼쭐 (쩐문공개) (9) 게리 06-23
2875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과 롯의 딸 (10) 게리 06-23
2874 사명감을 가지고 일하면 모두 숭고하다 (12) 혁명밀알 06-23
2873 [월인삼매] 관왕 혁명도수의 본무대를 향하여 (30) 칠현금 06-23
2872 진법일기 2-비복신법의 제가와 치국 (35) 이순신 06-23
2871 윌리암 안츠의《블립》 * 우주는 서로 얽혀 있다 (10) 사오리 06-22
2870 석과불식(碩果不食)과 산지박괘(山地剝卦) (11) 가우스 06-22
2869 어머니는 자외선이 싫다고 하셨어'정은지 (5) 딴따라고사리 06-22
2868 욕심 (12) 옥수 06-22
2867 하느님의 능력을 경험하게 하소서!-비가 억수로 와 (19) 몽마르뜨 06-22
2866 대명률에서의 과실살 (11) 선유도 06-22
2865 흠흠신서에 수록된 조선시대 과실살 사례의 고찰 (12) 선유도 06-22
2864 [레고바이블] 네가지 없는 예수 2 (8) 게리 06-22
2863 기독교 형성사 (9) 게리 06-22
2862 개신교인 와이프때문에 너무나도 힘듭니다.(펌) (10) 게리 06-22
2861 필리핀 아동들을 위한 해외자원봉사 (9) 혁명밀알 06-22
2860 백종원, 야유회엔 고추장 돼지 불고기가 최고! (6) 딴따라고사리 06-21
2859 전홍준의《비우고 낮추면 반드시 낫는다》 * 마음 치유 (10) 사오리 06-21
2858 진법일기-삼천의 시작 (15) 이순신 06-21
2857 고문용호경 에필로그 (15) 칠현금 06-21
2856 두근거리는 바람, 혹은 (10) 옥수 06-21
2855 한양대학교 골목길과 을지로 대원출판사 골목 (13) 객1 06-21
2854 특별기고~안원전 부정님 ~증산도혁명 의 말복도수 세살림을 축원하며~ (45) 향수 06-21
2853 네 마리 황소의 이야기 (10) 혁명밀알 06-21
2852 이 멱사머리에 똥바가지를.... (11) 게리 06-21
2851 [레고바이블] 사막잡귀 추종자들의 만행 (9) 게리 06-21
2850 킹제임스 성경 이외에는 사탄이 변개한 성경? (9) 게리 06-21
2849 김종명의《절대 설득하지 마라》 * 싸우는 사람들 (11) 사오리 06-20
2848 영웅을 기다리며 (11) 옥수 06-20
2847 [복면가왕 스페셜] 클레오파트라 위협하는 표범-팥빙수-계란탁/아이돌 재발견 (7) 딴따라고사리 06-20
2846 인仁의 두 가지 정의와 “가인지리可仁之理” (12) 선유도 06-20
2845 다산의 “성기호性嗜好”설 (10) 선유도 06-20
2844 본문비평에 쓰이는 신약의 사본 (8) 게리 06-2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