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5-06-24 10:23
종교회의
 글쓴이 : 게리
 


종교회의


예수는 인간인가 신인가? 이 문제는 니케아 종교회의에서 예수가 신이라고 투표로 결정 나기 전까지 수많은 논란을 야기 시켰으며 그 논란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오늘날 우리들이 알고 있는 기독교의 정통적 교의가 확립될 때까지는 많은 단계를 거쳐야만 했다.

 

(1) 제1차 종교회의(니케아)

324년에 콘스탄티누스가 로마제국의 동부에서 그의 정적인 리키니우스를 이기고 정권을 장악하자, 그는 325년 니케아에서 최초로 종교회의를 개최했다. 당시 교회는 예수의 신성(神性)문제를 둘러싸고 생겨난 아리우스 논쟁 때문에 분열의 위기에 놓였다. 콘스탄티누스는 이 분쟁이 국가적 차원에서 분열이 조장될 것을 걱정하여 황제 자신의 주선으로 그 당시 황제의 거주지인 니케아에서 종교회의를 개최케 했는데, 이 회의의 동기는 아리우스 논쟁 즉,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하는 아리우스파(派)를 이단(異端)으로 단죄하여 분열된 교회를 통일시키기 위함이었다.

 

이 회의를 통해서 예수는 투표에 의하여 신(神)이 되어 버렸는데, 기존의 상당수의 기독교는 예수를 신으로 여기지 않았다.그러한 점은 9장의 삼위일체 설의 허구성에서 신약의 저자들도 복음서를 기록할 때, 예수와 여호와를 동등하지 않게 기록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당시 초대교회사람들에게 예수는 신의 독생자로 모든 창조물 중에 으뜸가는 존재요, 모든 선지자중에 으뜸인 인간으로, 신과 인간의 중간에 놓인 중보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관점은 예수의 행적을 기록한 복음서 속에 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후기에 이르러서 기독교는 차츰 미트라의 영향을 받아가면서 미트라의 성 삼위일체 설을 받아들이게 되는데, 기독교는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정통파 아리우스파와 미트라의 삼위일체 설을 받아들인 아타나시우스파로 갈려지게 된다. 미트라의 숭배자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니케아 종교회의를 개최하면서 아리우스파를 단죄하려고 했다. 당시 콘스탄티누스는 세례도 받지 않은 상태로 종교회의를 사회하면서 공포적인 분위기로 회의를 주도해갔다. 콘스탄티누스는 모인 사람 중 몇 명을 추방하고 종교회의의 다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자는 누구나 죽이라고 명령했다. 교회의 불일치는 제국의 분열을 가져올 것이므로 연합하지 않는 자는 죽이라고 명령을 내려 회의장은 그야말로 공포의 분위기였다고 한다.

 

이 회의의 참석자는 318명이라고 하나 분명치 않다. 이들을 감독들(교부)이라고 불렀는데 그들은 각자 장로 두 명과 수행원 셋을 거느리고 니케아에 모였다. 감독들 중에서 가장 눈여겨볼만한 인물은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AD 295~373)이다. 이 회의에서 아리우스는 그리스도는 신(神)이 무(無)에서 창조한 존재로, 인간의 영(靈) 대신에 로고스가 들어간 존재라고 말했다. 유세비우스는 그리스도는 무(無)에서 창조된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전의 영원에서 신(神)이 창조한 존재로 본질은 신(神)이 아니나, 신과 비슷한(homoi) 존재라고 주장했다. [성경통신대학 제3권 /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 교육부 / 1992]

그러나 그들이 제출한 신경(信經)은 폐기되고, 황제의 지지를 받고 있는 아타나시우스의 주장이 채택되어 니케아신경(Nicaenum)이 공포되었다. 이 신경의 특징을 나타내는 단어는 '호우시우스'인데 그 의미는 성자(聖子)는 성부(聖父)와 본질이 하나라는 것이다. 이 말은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코르도바의 오시우스(Ossius von Cordoba)의 말을 빌려 한 말이다. 이 회의에서 예수는 투표에 의하여 인간에서 신이 되었으며, 그 결과 4명의 아리우스파가 파문(破門), 유형 당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이때의 투표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콘스탄티누스는 직접 회의를 주재하면서, 토론을 적극적으로 지도하였으며......(중략)......공의회가 발의한 신조에서,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관계를 '아버지와 하나의 실체'라고 표현한 결정적인 공식 문을 직접 제안하였다......(중략)...... 주교들은 황제에게 위압되어 단지 두 명만 제외하고 신조에 서명하였는데, 그들 중 다수는 자신들의 견해와 매우 달리 행동한 것이다." [Encyclopaedia Britannica]

 

또한 이 회의를 통해서 많은 이교도적인 종교의식이 기독교에 도입되었다. 우선, 주목할만한 것은 부활절의 시기였는데, 당시 지중해 국가에서 봄의 여신축제(동시에 미트라의 부활절)시기를 부활절로 결정지었다.  이 밖에도, 부활절 계란이나 결혼 반지, 종교적인 행사, 촛불을 켜는 것, 가운(gown) 복장의 성가대, 죽은 자들에 대한 기도, 예배 도구로 쓰인 나무 토막이나 천 조각, 방에 성수(聖水)를 뿌리는 것 등의 의식이 도입되었다.

 

(2) 제2차 종교회의(콘스탄티노플) & 작은 종교회의

381년 테오도시우스 1세(Theodosius I)가 소집, 안티오키아의 주교 멜리티우스가 주재했다. 콘스탄티노플 에서 개최된 이 회의에는 모두 150명이 참석했으며, 이 회의에서 삼위일체의 교의(敎義)에 관하여 논의되었으며, 특히 성령의 신성함을 옹호했으며, 325년에 있었던 니케아공의회의 합의를 공인했다. 첫 번째 회의에서 예수가 신과 동등해진 후, 2차회의에서는 여기에 성령이 끼워져서 삼위일체가 결정된 것이다.

 

또한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아리우스의 주장이 배척되었으나, 그 뒤 아리우스와 그 일파는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접근하는 데 성공하여 콘스탄티우스 2세 아래서는 전 로마제국을 지배할 만큼 세력을 떨쳤다. 따라서 니케아 신경을 재확인하는 과정이 필요 했는데 이 회의에서 아리우스파 문제에 종지부를 찍었다.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 아리우스파 Arianism항목]. 당시 황제였던 테오도시우스 1세는 테오도시우스 장군의 아들로, 서로마제국의 정제(正帝) 그라티아누스에 의하여 동로마의 정제로 선임되어 사르마티아인과 서고트족을 토벌했다. 서제(西帝)가 살해된 후 서방의 군대 실력자와 제위참칭자 (帝位僭稱者)들을 쳐부수고 전제국을 수중에 넣어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이후 분할 통치되고 있던 제국을 394년 재통일했다. 그러나 그는 죽기 직전 제국을 둘로 나누어 아르카디우스와 호노리우스에게 계승시켰으며, 380년에는 아타나시우스파의 교리를 정통파 신앙으로 정했다

 

테오도시우스는 392년 기독교를 로마의 국교로 삼아서 미라노 주교 암브로시우스로부터 대제라는 호칭을 받았으나, 실상 그는 콘스탄티누스를 뺨치는 폭군이었다. 그는 암브로시우스에게 명하여 이방종교의 신전을 파괴하고, 신전령(神殿領)을 몰수시키면서 이교도를 압박했다. 394년에는 올림픽 경기를 금지시켰다. 또, 빈민들에게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무거운 짐을 부담케 하고, 빈민들을 숨겨주거나 했을 경우 마을 주민 전체를 학살시키기도 했었으며, 관리들에게는 고문을 예사로 자행시켰다. 390년에는 데살로니카시 근처에서 반란을 일으켰던 시민 7천명이 대학살 되기도 했다. 기독교를 공인한 황제나, 기독교를 로마의 국교로 삼은 황제 모두 내로라하는 폭군이었던 셈이다. 

 

콘스탄티노플에서의 두 번째 종교회의가 끝난 후에도 간헐적으로, 401년 카르타고 종교회의(The Council of Carthago), 415년 멜라 종교회의(The Council of Mela), 415년 누미디아 종교회의(The Council of Numidia)등이 개최되기도 했다. 이 작은 종교회의에서는 유아세례(幼兒洗禮)가 공인되었다.

 

카톨릭에서 행하는 유아세례는 기독교의 원죄론 을 정립한 어거스틴의 작품이었다. 216년, 터툴리안은 성인들만 침례에 합당한 대상이라고 했고, 96년경에 초대교부였던 클레멘트(Clement)는 침례를 받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을 받고, 그가 침례를 받을 만한지 심사했다고 한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스우스(Dionysius)역시 신앙고백이 있은 후에 침례를 베풀었다. 쁘와띠에의 힐라리(Hilary), 아타나시우스, 달마티아의 제롬, 가이사랴의 바실도 공개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말하지 않는 한 아무에게도 침례를 베풀지 않았다. 크리소스톰, 나지안젠의 그레고리, 밀란의 암브로스도 같은 말을 했다.

역사가들은 90~300년 사이에는 아무도 유아 침례를 베풀지 않았다고 보는데,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오리겐은 이에 대한 교리들을 가르친 점이 주목된다. 필립 샤프(Philip Schaff)는 오리겐에게 유아세례를 인정한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오차아드(Orchard)는 유아세례가 카톨릭 교리로 처음 나타난 것이 아우렐리우스 어거스틴의 글에서라고 하는데, 그는 오리겐 처럼 외경을 담은 70인역이 영감이 있다고 생각하였던 사람이었다.

 

어거스틴은 누미디아 종교회의에서 유아세례를 거부하는 사람들을 저주했다. 그 이유는 도나티스트 (Donatists)들이 성인에게 다시 침례(재침례)를 베풀 때 그들은 처음의 세례(유아세례)가 의미 없음을 세상에 선포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어거스틴은 유아세례가 성경적이며 성인침례는 유아 때 이미 세례를 받았기 때문에 이단적이라고 주장을 펴나갔다. 418년에 개최된 카르타고 종교회의는 어거스틴을 지지하여 그의 주장을 정통 교리로 인정했다. 후에 416년 멜라 종교회의(The Council of Mela), 789년 샤를마뉴 (Charlemagne)는 유아세례를 국법에 규정하기조차 하였다.

 

유아세례라는 것 자체가 모순일 수밖에 없다. 많은 수의 '신자들'이 아기를 교회에 데려오지 않으면 파문의 위협을 받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아기를 데려와야 했으며, 물을 뿌리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알지도 못하는 아기들에게 기독교인으로 못을 박아버리는 것이었다.

 

(3) 제3차 종교회의(에페소스)

AD 431년에 에페소스에서의 제3차 종교회의로, 예수의 품격(品格)과 마리아 숭배를 둘러싼 논란이 초점이 되어 테오도시우스 2세가 소집한 3차 공의회이다. 이 회의에는 250명이 참석했는데, 에베소는 오래 전부터 다이아나를 동정녀와 어머니 여신으로 경배해온 도시였으며, 지금도 아르테미스를 숭배했던 신전의 흔적이 남아 있다.

 

안티오키아학파 출신의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總大主敎) 네스토리우스는 예수의 인성(人性)을 강조하는 학파의 입장에서 마리아에 대한 '신(神)의 어머니'라는 칭호를 부정했다. 반면에, 예수의 신성(神性)을 강조하는 알렉산드리아 학파가 이에 이견을 제시하자, 네스토리우스가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에게 강요하여 이 공의회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는 네스토리우스의 주장에 동조하는 안티오키아의 요한, 시리아의 주교들, 교황 셀레스티누스 1세측의 대표자들과, 네스토리우스의 적수인 에페소스의 주교 멤논의 지지를 받는,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등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네스토리우스의 적수들은 네스토리우스의 지지자들이 회의에 도착하기도 전에 고의적으로 회의가 개회 되었으며, 여기에서 마리아를 신(神)의 어머니로 숭배할 것을 결의했다.

 

당시 이 회의의 소집자는 동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2세와 서로마의 발렌티아누스 3세였지만, 두 황제는 모두 누이와 황후, 어머니들에 의하여 섭정이 이뤄졌던 허수아비 왕으로 회의에도 잘 나타나지 않았다. 그들의 방관아래 네스토리우스파는 회의에도 참석하지 못했고 회의는 불공정하게 진행되었다. 결국 네스토리우스는 콘스탄티노플 총주교직에서 해임되고 파문(破門)을 당하였으며 그의 교구는 단죄되었다. 마리아를 신의 어머니로 숭배할 것은 후에 테오도시우스 법전에 수록되어 국법이 되기도 했다.

 

(4) 제4차 종교회의(칼케돈)

AD 451년에 칼케돈에서 열린 제4차 종교회의로 참석자는 500~600명정도로 추측된다. 이 회의의 개최자는 형식상으로 비잔틴 황제 마르키아누스가 소집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신학자 에드알트 슈바르츠의 주장에 따르면, 테오도시우스2세가 죽은 뒤, 마르키아누스를 남편으로 삼은 부르케리아가 각 교회의 의사에 반하여 압력적으로 종교회의를 소집, 그녀가 주도했었던 것으로 추측한다. 이 회의에서 네스토리우스파(Nestorians)는 재차 단죄되었고, 결국 5세기경 네스토리우스는 페르시아로 망명한 뒤 동방으로 건너가 경교가 되었다.

 

칼케돈에서 열린 4차회의에서 교황 레오1세는 도그마 편지에서 예수의 이중성(二重性)에 대한 신조를 도입시켰다.이 회의에서 예수라고 하는 인격 안에 신과 인간의 성격이 불가분적으로 합치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되게 되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칼케돈 신조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것으로 이 이중성은 지금까지 살아 남아 있다. 니케아공의회(325) 및 콘스탄티노플공의회(381)에서 삼위일체의 교리가 결정된 후에도, 그리스도는 그 본질에 있어 무엇인가를 놓고 논쟁이 계속 이루어졌는데 이 회의에서 결정이 나게 된 것이다. 이 회의에서 삼위일체론 을 믿었지만 단성설을 믿은 유티키아파가 단죄 당했다. 그들이 주장했던 그리스도 단성설(monophysitism)이란, 성육신(成肉身)한 그리스도는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이 완전히 결합 또는 융합하여 단일의 성(性)을 이룬다고 주장하는 그리스도론(論)이다. 즉 예수의 인성까지도 신성에 속한 것이라는 이 주장에 의하면 예수의 몸은 우리의 몸과 같지 않고 그의 육체도 신성에 속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단성설은 라오디게이아의 아폴리나리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등, 이른바 알렉산드리아학파 사람들에 의하여 주장되었다.

 

그리고 에페소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의 설(說)이 배척된 뒤, 에우티케스에 의하여 더욱 발전되었다.

교회는 칼케돈공의회(451)에서 이러한 단성설을 부정하고, 성육신의 그리스도는 신인양성일인격(神人兩性 一人格) 이라는 양성설(兩性說)을 교의로 채택하였다. 이 회의에서 예수의 인성과 육신까지 신이었다는 단성설이 배척되었지만, 복음서의 마지막에는 부활한 예수가 육신 채 하늘로 승천했다고 한다는 점에서 그리스도의 단성설도 타당하다고 생각이 들지 않는가? 그리고 이 회의에서 로마 교황의 탄생되었으며, 교황에 의해서 교리가 통일될 수 있게 되었다.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 국민은행 474901-04-153920 성사재인(김갑수)



게리 15-06-24 10:27
 
야수가 인간이믄 낸도 인간
야소가 신이믄 낸도 신
야수가 짚신벌레믄 낸도 아메바
야수가 뿅망치믄 낸도 두더지
사람과사람들 15-06-24 11:51
 
"이 회의를 통해서 예수는 투표에 의하여 신(神)이 되어 버렸는데, 기존의 상당수의 기독교는 예수를 신으로 여기지 않았다."
결국 니케아 회의를 통해서 예수님이 신의 존재로 인간에 의해서 확약을 받았다는 내용이군요.
혁명밀알 15-06-24 12:29
 
당시 교회는 예수의 신성(神性)문제를 둘러싸고 생겨난 아리우스 논쟁 때문에 분열의 위기에 놓였다.
콘스탄티누스는 이 분쟁이 국가적 차원에서 분열이 조장될 것을 걱정하여 황제 자신의 주선으로 그 당시
 황제의 거주지인 니케아에서 종교회의를 개최케 했는데, 이 회의의 동기는 아리우스 논쟁 즉,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하는
 아리우스파(派)를 이단(異端)으로 단죄하여 분열된 교회를 통일시키기 위함이었다.
혁명밀알 15-06-24 12:30
 
당시 초대교회사람들에게 예수는 신의 독생자로 모든 창조물 중에 으뜸가는 존재요,
모든 선지자중에 으뜸인 인간으로, 신과 인간의 중간에 놓인 중보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관점은 예수의 행적을 기록한 복음서 속에 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바람아구름아 15-06-24 15:18
 
그리스도 단성설(monophysitism)이란, 성육신(成肉身)한 그리스도는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이 완전히 결합 또는
융합하여 단일의 성(性)을 이룬다고 주장하는 그리스도론(論)이다
선유도 15-06-24 16:29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아리우스의 주장이 배척되었으나, 그 뒤 아리우스와 그 일파는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접근하는 데
성공하여 콘스탄티우스 2세 아래서는 전 로마제국을 지배할 만큼 세력을 떨쳤다
정수리헬기장 15-06-24 19:09
 
종교회의를 거쳐 사람이 신이되고 ... 누구 말처럼  천륜도 이어주고 끊어주고 ...
된장찌개 15-06-24 20:33
 
324년에 콘스탄티누스가 로마제국의 동부에서 그의 정적인 리키니우스를 이기고 정권을 장악하자, 그는 325년 니케아에서 최초로 종교회의를 개최했다.
목화씨 15-06-24 20:59
 
후기에 이르러서 기독교는 차츰 미트라의 영향을 받아가면서 미트라의 성 삼위일체 설을 받아들이게 되는데,
기독교는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정통파 아리우스파와 미트라의 삼위일체 설을 받아들인 아타나시우스파로 갈려지게 된다.
사오리 15-06-24 23:43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근심하지 말고, 생각대로 잘된다고 기뻐하
지 말라.
오래도록 편안할 것이라고 믿지 말며, 처음에 어렵다고 꺼리지 말라
 
 

Total 9,90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2909 긍정적인 인생, 빨간머리 앤에게 배워요! (13) 혁명밀알 06-26
2908 김규환의《어머니 저는 해냈어요》 * 차근차근 한 걸음 한 걸음 (11) 사오리 06-25
2907 과거 현재사진- 머리 김날 때~ 심심땅콩 용도 (12) 각설탕 06-25
2906 백색형제단 창시자 의 강론1 (15) 향수 06-25
2905 조선시대 과실살로 처리되거나 감형된 사례에 대한 다산의 견해 (10) 선유도 06-25
2904 사랑은 잎이 아니라 나이테다 (11) 옥수 06-25
2903 진법일기 3-사부님께 드리는 충언 (20) 이순신 06-25
2902 9개월 8일만에 정식가입 인증 (27) 호반도시 06-25
2901    9개월 8일만에 정식가입 인증 - 축하와 함께 (8) 객1 06-25
2900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의 방어전 무대 '사랑...그 놈' (10) 딴따라고사리 06-25
2899 레고바이블/ 도박빚 갚으려고 살인강도 저지른 삼손과 야훼 (15) 게리 06-25
2898 모세가 호렙산에서 받은 십계명 돌판에 쓰여진 글자는 어느나라 민족의 문자였을깡 (11) 게리 06-25
2897 젊은이들의 반기독교 토론 영상과 질문 답변 (12) 게리 06-25
2896 마음이 아름다우니 세상이 아름다워라 (14) 혁명밀알 06-25
2895 [월인삼매] 청룡황도대개년 진사성인출세 (24) 칠현금 06-25
2894 이하레이카라 휴 렌의《하루 한 번 호오포노포노》 * 신성한 지혜 (11) 사오리 06-24
2893 고문용호경을 절찬리 보고서~ (20) 향수 06-24
2892 회상8 <속裏> (22) 아사달 06-24
2891 5.16 혁명의 주역과 중앙정보부 역할 (15) 목화씨 06-24
2890 화장실에서 보는 책 < 최불암 목욕탕 가다> (13) 객1 06-24
2889 과실살의 개념에 대한 다산의 이해 (13) 선유도 06-24
2888 백종원표 만능간장 만드는 법 대공개! (5) 딴따라고사리 06-24
2887 어린이들에게 물었습니다 (12) 혁명밀알 06-24
2886 그룹 회장팀과 소머리 잔재주팀은 공정게임을 해주기를 바랍니다 (17) netpol 06-24
2885 종교회의 투~우~ (11) 게리 06-24
2884 종교회의 (10) 게리 06-24
2883 [레고바이블] 구라잡경에 있는 월경 관련 구절들 (9) 게리 06-24
2882 데비 포드의《그림자 그리고》 * 빛 (11) 사오리 06-23
2881 ‘안티고네’를 다시 생각한다 (13) 몽마르뜨 06-23
2880 오렌지 캬라멜 - 하늘땅 별땅 [음악여행 예스터데이] (5) 딴따라고사리 06-23
2879 화장실에서 보는 책 < 선생보다 나은 제자> (12) 객1 06-23
2878 조선 후기 이후의 과실살의 변천 (12) 선유도 06-23
2877 잼날girl요 (11) 게리 06-23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