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5-05-26 20:28
다산 공부론- 회복에서 발전
 글쓴이 : 선유도
 

다산 공부론- 회복에서 발전

 

 퇴계의 주리와 다산의 신학이 선명히 갈라지는 지점은 어디일까. 그것은 바로 두 진영의 수양론적 도덕론적 차이에 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주자학이 회복의 모델(recovery model)이라면 다산학은 발전의 모델(development model)이다. 이 점에서 그의 사유는 실학 혹은 근대와 이어져 있다. 그렇지만 기억해야 할 것은 다산의 발전 모델이 도덕적 신성의 발전이지, 근대나 실학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실용적 합리성의 발전은 아니라는 점이다. 실학의 관점에서 그는 <과도적 위상>을 갖는다. 그는 그의 과학적 사고와 사회정치적 개혁을 어느 편이냐 하면 자신의 신학과 <분리시켜> 논의했다. 그는 경학에서는 유학이었지만, 경세학은 법가적 사유를 원용했던 것이다.

 

우선 주자학의 <회복> 모델을 개략해 보자.

()는 자연 세계뿐만 아니라 인문적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는 자연의 <질서>로서, 봄이 가면 여름이 오고, 여름의 열매가 익으면 가을의 걷이와 조락을 예비하듯, 또한 인문 세계의 <규범>으로서 개인적 정서와 선택, 사회적 관행과 제도의 준거(準則)로 존재한다. 우주 안의 모든 길()은 이 보편적 <질서-규범> 속에 있다. 그래서 이일분수(理一分殊)이다. 이것은 영어의 로(law)<물리적 법칙><인륜적 규율>을 포괄하는 것과 궤를 같이 한다. 이것이 젊은 시절 왕양명(王陽明)으로 하여금 대나무를 몇 날 며칠 뚫어지게 쳐다보게 했다.

우주적 <질서-규범>은 우주적 화해와 조화의 전망에 있다. 그것은 사적 이기심을 위한 적나라한 투쟁의 장이 아니었던 것이다. 주자학의 사유는 동물적이 아니고 식물적이다. 모든 비유가 초목과 산수로 되어 있는 것을 눈여겨보아야 한다. 인간은 동물적 습성을 자제하고 식물적 품성을 키워야 한다. 그리하여 자기 욕망의 억제와 타인에의 배려, 즉 인의(仁義)가 우주적 규범이면서 질서를 보장하는 덕목이 되었다. 주자학으로 하여 본래 인문적 덕목이었던 인의(仁義)가 우주적 질서의 위상으로 승격되었다. 그리고 인의(仁義)는 이()의 실 내용으로서 절대적 지위를 얻게 되었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신학적 사고의 일종이다.

다시 정리하자면 이()<절대>로서 

1) 사물을 생성 변전시키고(元亨利貞),

2) 사물들간의 질서를 관장하며(, ), 

3) 각개 사물의 궁극적 의미를 현시해 준다(仁義禮智). 

1)은 신학이고, 2)는 자연학이고, 3)은 도덕학이다. 근대적 인식은 이 셋을 통합하는 주자의 사유를 이해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주자의 구상은 일반적 신학이나 전통적 형이상학에서는 아주 자연스런 것이다. 그 안에서 존재와 당위, 사실과 가치, 과학과 도덕, 논리와 윤리는 통합적 지평을 갖고 있다. 학자들은 과학이 아니고, 그렇다고 신학이라 부르기엔 뭣한 이 독특한 사유에 도덕형이상학(moral metaphysics)이란 이름을 붙여 주었다. 그것은 일상적 규범을 우주론적 형이상학적 토대 위에 정초해 놓았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의 규범이 이처럼 <영원의 근원>을 갖기에 주자학에서 자연과 자유는 일치한다. 영원의 규범이 인간의 본질로 주어져 있기 때문에 인간은 그 명령을 자의적 판단과 상황적 필요에 따라 거부하거나 수정, 변용할 수 없다. 주자는 말했다. '()이 인간으로 하여 비로소 존재한다고 오해하지 않도록 하라(道非因人方有).'

주자는 이()가 소이연지고(所以然之故)와 소당연지칙(所當然之則)의 두 얼굴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구절은 주자학을 말하는 사람의 입에 언제나 회자(膾炙)되면서 그 정확한 함의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비판적 연구자들은 전자를 <사실>, 후자를 <당위>로 구분하고 주자가 이 둘의 일치를 아무런 논리적 매개 없이 일치시켰다고 불평한다. 이는 문자를 정밀하게 읽지 않은 독법이다. 그는 제자들에게 늘 소당연지칙(所當然之則)을 통해 소이연지고(所以然之故)에 이르러야 한다고 일렀다

여기서 소당연지칙이란 마땅히 그러해야 하는 준칙(), 즉 규범을 가리키며, 소이연지고는 바로 그 준칙의 존재 근거를 가리킨다. 전자가 규범의 현실적 측면()이라면 후자는 그 형이상학적 존재론적 측면()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 둘은 이원화되지 않는다는 것이 그의 신념이었다(體用一原). 그리고 이 발상이 가능한 이유는 그것이 앞에서 말한 신학적 지평을 원론적으로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절대적 준거의 문제는 서양 철학이 상대주의와 객관주의라는 이름 하에 오랜 논의를 거쳐온 아포리아이기도 하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기(理氣)의 사유는 상대주의와 객관주의의 논리적 딜레마에 그다지 깊이 주의하지 않았다. 그들이 관심을 둔 것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그 보편적 규범을 어떻게 현실화할 것이냐 이었지, 그 존재 여부를 정당화하는 데 정력을 소모하지 않았다. 그래서 형이상학적 독단이란 이름을 얻기도 한다. 이는 하느님이 우주와 인간을 창조했다는 신학적 독단과 이웃하고 있다. 유학과 서학은 근대의 입장에서 보면 공히 독단간의 싸움으로 비칠 수 있다.

퇴계의 주리 또한 전형적으로 <회복>의 모델이다. 그는 늘 '기()의 자연발현(自然發現)이 이()의 주체(本體)'라는 화담의 자연적 낙관론을 비판하면서, ()의 본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주시와 자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천지만물(天地萬物)이 이()와 더불어 하나'라는, 얼핏 자연적 낙관으로 오해되기 쉬운 주자학의 언설을 그는 실존적 자기 수련을 통한 우주적 합일의 언명으로 읽었다.

 ()이라는 것이 비록 만물과 더불어 일체라고는 하나, 그렇지만 (그것은 미리 확보된 것이 아니라) 반드시 나(自己)를 본원(原本)으로 주재(主宰)에로 (다가가야) 한다. 그래야만 물아(物我)가 일리(一理)로 얽혀(相關) 있다는 것이 절실(親切)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가슴에 가득 찬 동정심(compassion 惻隱之心)과 함께 어디든 막힘 없이 뚫고 들어가는 것, 이것이 다음 아닌 인()의 정체(實體)이다. 만일 이 이치()를 모르고서, <천지만물이 인() 안에서 한 몸>이라고 반성 없이 단정해 버리면 이른바 인()이란 구체성을 찾을 수 없는 바, 그것이 나의 (실존적) 몸과 마음에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퇴계집(退溪集), 7:49-50)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 국민은행 474901-04-153920 성사재인(김갑수)



선유도 15-05-26 20:43
 
퇴계의 주리와 다산의 신학이 선명히 갈라지는 지점은 어디일까?
사오리 15-05-26 23:08
 
일이 없을 때에는 마음이 혼미해지기 쉬우니, 마땅히 고요한 가운데 깨
처 있어야 하며, 일이 있을 때에는 마음이 따라 분주해져 경솔해지기
쉬우니, 마땅히 깨어 있는 가운데 고요함을 유지해야 한다
혁명밀알 15-05-27 01:45
 
이(理)는 자연 세계뿐만 아니라 인문적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이(理)는 자연의 <질서>로서, 봄이 가면 여름이 오고,
여름의 열매가 익으면 가을의 걷이와 조락을 예비하듯, 또한 인문 세계의 <규범>으로서 개인적 정서와 선택,
 사회적 관행과 제도의 준거(準則)로 존재한다
스칼라 15-05-27 08:30
 
이(理)는 <절대>로서
1) 사물을 생성 변전시키고(元亨利貞),
2) 사물들간의 질서를 관장하며(道, 性),
3) 각개 사물의 궁극적 의미를 현시해 준다(仁義禮智)
창호지구멍눈 15-05-27 09:35
 
소당연지칙이란 마땅히 그러해야 하는 준칙(則), 즉 규범을 가리키며, 소이연지고는 바로 그 준칙의 존재 근거를 가리킨다
빈병 15-05-27 19:48
 
퇴계의 주리 또한 전형적으로 <회복>의 모델이다. 그는 늘 '기(氣)의 자연발현(自然發現)이 이(理)의 주체(本體)'라는
 화담의 자연적 낙관론을 비판하면서, 이(理)의 본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주시와 자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등대 15-05-27 22:00
 
우주적 <질서-규범>은 우주적 화해와 조화의 전망에 있다. 그것은 사적 이기심을 위한 적나라한 투쟁의 장이 아니었던 것이다
등대 15-05-27 22:01
 
놀랍게도 이기(理氣)의 사유는 상대주의와 객관주의의 논리적 딜레마에 그다지 깊이 주의하지 않았다.
그들이 관심을 둔 것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그 보편적 규범을 어떻게 현실화할 것이냐 이었지,
그 존재 여부를 정당화하는 데 정력을 소모하지 않았다.
 
 

Total 9,90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2579 다산정약용: 성리학의 미발 공부와 하학처의 문제 (11) 선유도 05-28
2578 오늘부터... (10) 혁명밀알 05-28
2577 무라카미 하루키의《잡문집》 * 소설가의 눈 (7) 사오리 05-27
2576 고문용호경 (상) 제5장. 제6장 (13) 칠현금 05-27
2575 [복면가왕]상암동 호루라기 '태일' 노래 정체 (3) 딴따라고사리 05-27
2574 2. 성리학의 하학공부에 대한 다산의 비판 혹은 오해 (11) 선유도 05-27
2573 다산 공부론에 있어서 '덕성(德性)'의 문제 (7) 선유도 05-27
2572 태양신의 기호(symbol), 십자가 (12) 게리 05-27
2571 나는 기독교인이라 한라산산신제 집전 못합니다. (7) 게리 05-27
2570 [레고바이블] 저주받은자 (8) 게리 05-27
2569 SNS 난법일기17-의통과 녹 (16) 이순신 05-27
2568 포기란 끝까지 노력한 자의 특권입니다 (8) 혁명밀알 05-27
2567 웬디 웰치의《빅스톤갭의 작은 책방》 * 웃어넘길 줄 아는 능력 (7) 사오리 05-26
2566 다산 공부론- 회복에서 발전2 (8) 선유도 05-26
2565 다산 공부론- 회복에서 발전 (8) 선유도 05-26
2564 김정난 신동엽 요절복통 요가 19 (5) 딴따라고사리 05-26
2563 고문용호경(상) 제3장, 제4장 (12) 칠현금 05-26
2562 삼일운동의 요람은 천도교 (6) 게리 05-26
2561 크리스마스와 부활절의 기원 (8) 게리 05-26
2560 [레고바이블] 조선왕조실록에 KTX (6) 게리 05-26
2559 제 135편「중국」 30- 마오쩌둥의 ‘덧’ 에 걸린 중국 소시민과 지식인들 (17) 전설따라소설쟁이 05-26
2558 작은 관심에서 큰 희망으로 (7) 혁명밀알 05-26
2557 채은의《서머힐에서 진짜 세상을 배우다》 * '고마워, 서머힐!' (7) 사오리 05-25
2556 고문용호경 (상) 제1장, 제2장 (14) 칠현금 05-25
2555 압록강 밥솥!(모란봉 홈쇼핑), (LTE A 뉴스) 웃찾사 (5) 딴따라고사리 05-25
2554 SNS 난법일기16- 수신의 준비. 복록과 녹지사 (16) 이순신 05-25
2553 bbc 기사 번역.... 종교는 언젠가는 사라질 것인가?2 (12) 게리 05-25
2552 bbc 기사 번역.... 종교는 언젠가는 사라질 것인가? (11) 게리 05-25
2551 초대교회의 강력한 라이벌, 미트라교! (8) 게리 05-25
2550 [레고바이블] 아론의 죽음 (7) 게리 05-25
2549 게 두 마리가 갈대꽃(蘆花)을 끌어안고 있다. (11) 옥수 05-25
2548 다산과 주리(主理)의 주자학2 (9) 선유도 05-25
2547 다산과 주리(主理)의 주자학 (11) 선유도 05-25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