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5-05-29 17:20
성리학의 공부론을 통해서 본 다산의 '행사(行事)' 개념2
 글쓴이 : 선유도
 

 성리학의 공부론을 통해서 본 다산의 '행사(行事)' 개념2


다산은 덕을 '효제'라고 가장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드러낸다.  덕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덕의 실천에서 '먼저하고 뒤에 할 바를 지극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다산은 그런 의미에서 인륜의 기초가 되는 효제를 곧 덕이라고 이름하였다그가 파악하기에 당시의 성리학자들은 덕을 형이상학적 실체로 가두어 둠으로써 그 실천력을 급격히 상실하고종국적으로는 사회적인 통합력도 잃어버린 것으로 이해하였다다산은 개인적인 차원의 선이나 극기의 윤리에서 한정될 것이 아니라적극적으로 사람사이의 관계를 맺어 주는 공동체의 윤리질서로 발전될 수 있기를 갈망하였다.

덕에 관한 다산의 이러한 실천적이고 실사적인 태도는 구체적인 일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도 성리학자들과 많은 편차를 드러낸다그 한 예를 우리는 <숙흥야매잠>을 둘러싼 다산과 퇴계와의 차이에서 엿볼 수 있다주지하는 바와 같이 다산의 퇴계에 대한 존숭은 각별하다다산의 <도산사숙록>에는 퇴계의 학문과 인격에 대한 그의 존숭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그는 퇴계의 글을 읽은 소회를, '그 깊은 뜻과 넓은 폭을 후생말류로서는 감히 엿보거나 헤아릴 수 없는데이상스럽게도 마음이 편안해지고 생각이 가라앉아 혈육과 근맥이 모두 안정되어 안도감이 들면서 예전의 조급하고 거칠고 발월(發越)하던 기운이 점점 사라지니이 한 부의 책이 저의 병증에 맞는 약이 아닌가 싶습니다.'라고 술회하고 있다.

이렇게 33장으로 구성된 <도산사숙록>은 다산의 퇴계에 극진한 존경과 흠모의 내용이 담겨 있다그러나 이 사숙록의 행간에는 간혹 동일한 주제에 대해 다산특유의 실학적 해석이 깃들여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퇴계는 <숙흥야매잠>을 철저히 성리학적 공부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그러나 다산이 경우에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르다다산은 숙흥야매잠을 진백이 작성한 이유를 우리들이 날마다 하는 일에 정한(程限)을 정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 찾고 있다다산이 숙흥야매잠을 이렇게 단순한 하루의 일정표나 시간표로 이해하는 것은퇴계가 이것을 그의 경론(敬論)의 가장 중심적인 해설서로 잡았던 것과는 엄청난 차이를 드러낸다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숙흥야매잠도>는 퇴계의 성학십도의 제 10도로서 그의 공부론이 가장 집약적으로 드러나 있다또한 이 숙흥야매잠의 해석을 둘러싸고 퇴계와 노소재는 치열한 이단 논쟁을 전개한 바 있다우선 퇴계가 왜 숙흥야매잠도를 만들었는지를 들어 보도록 하자.

 

 이 잠에는 여러 가지 공부하는 시간적 상황이 (時分있으므로 그 시분(時分)에 따라 배열하여 그림을 만들었습니다대저 도가 일용(日用사이에 유행(流行)하여 간데 마다 있지 않는 곳이 없으므로 이()가 없는 곳이란 한 군데도 없는 것이니 어느 곳에선들 공부를 그만 둘 수 있겠습니까잠깐 사이에도 정지할 수 없으므로 순식간도 이()가 없는 때가 없으니 어느 땐들 공부를 하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

 

<숙흥야매잠도>에 나타난 퇴계의 가장 큰 관심사의 하나는 이 평범한 일상의 삶을 어떻게 하면 도의 세계와 연결시킬 수 있을까 하는 점이었다일상의 소소한 이치를 배우는 하학의 세계가 필경 상달의 세계로 진입하는 관문의 구실을 한다는 믿음을 그는 <숙흥야매잠도>에 실어 두고 있다경이 그 고리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퇴계에 따르면 도는 일상생활에서 양양하게 흘러 넘치고 있다그 도와 이치는 동지어묵(動止語黙어떠한 순간에서 쉼 없이 흘러 넘치는 것이다일상 생활의 마디마디에서 그 도는 쉼 없이 유행하여일상이 파편화되고 분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퇴계는 하학이상달(下學而上達)의 유학적 공부론에 깊은 신뢰를 갖고 있다그는 성학십도에서 이 과정을 '처음에는 각각 한 가지 일마다 노력하였지만 언젠가는 '하나의 근원에서 만나게 될 것'(始者各專其一 今乃克恊于一)' 이라고 풀어서 설명하였다이 말은 일견 사소하고 미미하게 보이는 일상에 대한 공부가 쌓이고 쌓이면 어느 순간에는 융회관통(融會貫通)하여 도의 세계에 다다르게 됨을 표현하고 있다퇴계가 숙흥야매잠을 주목한 것은일상에 깃들어 있는 개체적 원리(分殊之理)그 개별적 원리의 근원적 모태인 통합적 원리(理一)를 여하히 일치시킬 수 있을 가를 모색하고자 함에 있었다.

또한 퇴계가 지닌 고민은 이 일상의 세계 전체가 결코 모두 도의 세계가 아니라는 점이다그의 가장 커다란 고민의 하나는 배움의 주무대인 일상의 세계가 곧 바로 지선(至善)의 세계진리의 세계가 될 수 없다는 점에 있었다퇴계가 임금에게 올린 차자를 보면 그는 일상의 세계와 도의 세계를 연결하는 것이 얼마나 지난한 어려움이 있는 지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었다퇴계의 표현에 따르면처음 하학의 공부에서는 하고자 하는 노력과 일이 서로 분리되어타인의 간섭에 좌지우지되는 이른바 '철주'(掣肘)의 고통과 나와 세계가 분리되는 '모순'(矛盾)의 과정을 경험하고때때로 극도의 신고(辛苦)와 괴로움의 순간들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퇴계 공부론의 요체는 이()와 기()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에 있다퇴계가 바라보는 우리의 일상은 천지의 질서와 선험적 가치를 존중하고자 하는 순선(純善)의 이()적 요구와개인의 이해와 욕망 속에서 번뇌하는 기()적 욕구사이에서 갈등하는 세계다오히려 일상의 세계는 기의 요소가 더욱 힘을 발휘하여 이의 밝은 빛이 잘 드러나지 않는 세계이다이러한 이()의 독존(獨尊)을 드러내는 공부가 곧 경()이다현상의 세계에 결코 매몰되지 않는그렇다고 하여 완전히 분리되지도 않는 존재의 밝은 빛이 곧 이()이다퇴계에 따르면 이 이기 양자의 존재론적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는 첫 출발점이 된다그가 율곡에 대하여 학()과 도()의 세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것은 이와 기를 혼동하는 것만큼이나 위태로운 것이라고 지적한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 양자의 관계를 밝게 구별하는 것은형기를 지닌 인간으로서는 엄청난 어려움이 따른다육신을 가진 인간으로서의 현실적 욕망을 완전히 포기해야 하는 극도의 절제가 요구된다숙흥야매잠은 이러한 형기의 욕망을 절제하는 가장 좋은 수양서로서의 의미를 지니다.

이러한 성리학적 공부론의 관점에서 볼 때다산이 숙흥야매잠을 날마다 하는 일에 정한(程限)을 정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 파악하는 것은 매우 충격적인 일임에 틀림없다다산이 숙흥야매잠을 이렇게 하루의 일정표나 시간표 정도로 이해하는 것은 퇴계가 <숙흥야매잠도>을 그의 경학(敬學)의 구도로 환치시켜 놓은 것을 완전히 해체하는 작업과 같다또한 다산은 진백이 이 잠을 통해 일상을 심성론적 차원으로 환원시킨 것을 '행사(行事)'의 무대로서의 일상으로 돌려놓은 것으로 볼 수 있다다산이 이기론의 해체를 통하여 성리학의 본체론을 근저에서부터 뒤흔들어 놓았다면그는 '하학'과 '일용행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성리학적 공부론을 근본적을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기론적 체계를 걷어 버린 다산의 이러한 '행사(行事)' 개념은 성리학자들로서는 매우 불안정하고자칫 주체로서의 마음을 잃어버리는 위험성을 발견하게 된다문산이 다산에 대하여 경계한 것도 바로 다산 사상이 지닌 이러한 점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다산의 '행사' 개념은 물()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자칫 사물을 부리는 것(役物하는 것이 아니라사람이 사물의 부림을 받는(役於物관계로 진전될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정이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사람들이 사려가 많고 편안할 수 없는 것은 그의 마음의 주체가 안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니 마음의 주체를 안정시켜야 한다… 사람이 어떤 일을 행함에 있어 스스로 그쳐야 할 바에 그치지 못하는 것은또 다른 일에 구애되어 각각의 물에 있는 그 물의 고유한 이치를 모르기 때문이다물마다 물에는 고유한 법칙이 있어(物各付物그대로 따른다면 오히려 물을 부리는 일이 되지만그러나 물에 구애되면 물에 사역 당하게 되는 것이다. (맹자가 말했듯이물이 있다고 한다면 물에는 반드시 고유한 법칙이 있게 마련이라고 하였는데우리들은 반드시 사물의 법칙에 따라 사리의 당연한 극()에 멈추어야 한다.

 

물론 위의 글에서 물각부물(物各付物)을 강조하는 것은 바깥의 외물을 부정하고마음이 안으로만 침잠하는 불교적 정적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에 그 의미를 두고 있다즉 바깥 외물에도 그 나름의 고유한 존재법즉 분수지리(分殊之理)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것이 내 마음의 이()와 조응하도록 하는 것이 궁리를 통한 공부인 것이다물각부물(物各付物)은 '물이 와서 응하나(物來而應물의 고유한 법칙을 벗어나지 않고물이 감에 화()하나(物往而和결코 그 자취를 남기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그러나 성리 공부론을 통해 보건대다산이 각각의 물 속에 있는 분수지리를 부정하고모든 물의 세계를 그 스스로의 실천 속에서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의 행사 철학은 종국적으로 물에 구애되어 물에 사역 당하는 또 다른 한 좌단이 될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 국민은행 474901-04-153920 성사재인(김갑수)



선유도 15-05-29 17:29
 
<숙흥야매잠>을 둘러싼 다산과 퇴계와의 차이는?
빈병 15-05-29 19:10
 
퇴계 공부론의 요체는 이(理)와 기(氣)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에 있다.
산백초 15-05-29 20:09
 
다산은 덕을 '효제'라고 가장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드러낸다.  덕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덕의 실천에서 '먼저하고 뒤에 할 바를 지극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다산은 그런 의미에서 인륜의 기초가 되는 효제를 곧 덕이라고 이름하였다
등대 15-05-29 21:56
 
덕에 관한 다산의 이러한 실천적이고 실사적인 태도는 구체적인 일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도
성리학자들과 많은 편차를 드러낸다.
등대 15-05-29 21:56
 
퇴계는 <숙흥야매잠>을 철저히 성리학적 공부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
그러나 다산이 경우에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르다. 다산은 숙흥야매잠을 진백이 작성한 이유를
 우리들이 날마다 하는 일에 정한(程限)을 정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 찾고 있다
사오리 15-05-29 23:24
 
인생의 쓴 맛, 단 맛을 다 겪어서 이뤄 낸 복이야말로 진정으로 오래
지속되는 복이고,
의심과 믿음을 참작하여 살핀 끝에 이룬 지식이야말로 진정으로 참된
앎이다..
혁명밀알 15-05-30 02:19
 
퇴계가 지닌 고민은 이 일상의 세계 전체가 결코 모두 도의 세계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의 가장 커다란 고민의 하나는 배움의 주무대인 일상의 세계가 곧 바로 지선(至善)의 세계,
진리의 세계가 될 수 없다는 점에 있었다.
된장찌개 15-05-30 11:37
 
덕에 관한 다산의 이러한 실천적이고 실사적인 태도는 구체적인 일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도 성리학자들과 많은 편차를 드러낸다. 그 한 예를 우리는 <숙흥야매잠>을 둘러싼 다산과 퇴계와의 차이에서 엿볼 수 있다
꿈이였어 15-05-30 13:45
 
퇴계가 지닌 고민은 이 일상의 세계 전체가 결코 모두 도의 세계가 아니라는 점이다
가우스 15-05-30 23:58
 
이의 가치/기의 욕구
 
 

Total 9,90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2612 다들 그렇게 한단다 (9) 혁명밀알 05-31
2611 악의惡意를 내뱉는 자는 결국 분별이 없이 죽는 바보다 (12) 가우스 05-30
2610 감성현의《그녀와 그, 영원히 넘을 수 없는 벽》 * 온도, 사랑의 체온 (10) 사오리 05-30
2609 공부론을 통해서 본 다산 '기호(嗜好)'론의 의미 -욕망의 문제와 관련하여- (11) 선유도 05-30
2608 [복면가왕 스페셜] 아이돌의 재발견! (5) 딴따라고사리 05-30
2607 회상4 <일월日月> (19) 아사달 05-30
2606 미국 먹사의 파트너찾기 (10) 게리 05-30
2605 삼위일체의 배경 (13) 게리 05-30
2604 [레고바이블] 10년만에 부활하다 (10) 게리 05-30
2603 지구(地球)의 4차원 문명 예언 (16) 향수 05-30
2602 고문용호경 (상) 제11장, 제12장 (17) 칠현금 05-30
2601 우리의 미소는 변함이 없습니다 (11) 혁명밀알 05-30
2600 김홍신의《단 한 번의 사랑》 * 인생의 명답 (8) 사오리 05-29
2599 고문용호경 (상) - 제9장, 제10장 (11) 칠현금 05-29
2598 신비막측의 우주제국 로스웰 정리! (12) 향수 05-29
2597 만국유람기 - 하와이의 누드비치 (5) 딴따라고사리 05-29
2596 성리학의 공부론을 통해서 본 다산의 '행사(行事)' 개념2 (10) 선유도 05-29
2595 성리학의 공부론을 통해서 본 다산의 '행사(行事)' 개념 (9) 선유도 05-29
2594 바카스에 막걸리 7/10 담고 (8) 객1 05-29
2593 투탄카멘 제대로 알기 ~ by 디스커버리 채널 (10) 게리 05-29
2592 예수 그리스도 酒님 (10) 게리 05-29
2591 [레고바이블]태양이 멈춘 이야기 (9) 게리 05-29
2590 추억이 있어서 나는 살아갈 것이다 (11) 혁명밀알 05-29
2589 베르벨 바르테츠키의《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 마음이 상하셨나요? (8) 사오리 05-28
2588 욕 심 / 공현미 (10) 각설탕 05-28
2587 고문용호경(상) 제 7장, 제 8장 (12) 칠현금 05-28
2586 도술운통구만리~ (14) 향수 05-28
2585 미완성 작품 프랑스 대혁명 (12) 만사지 05-28
2584 섹시디바! 효린+에일리+제시 BANG BANG! (6) 딴따라고사리 05-28
2583 묵시문학의 정체와 묵시문학의 태동 (11) 게리 05-28
2582 환상속의 예수 (10) 게리 05-28
2581 [레고바이블] 머리카락만 자라는 이상한 녀석 (8) 게리 05-28
2580 다산정약용: 성리학의 미발 공부와 하학처의 문제2 (11) 선유도 05-28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