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5-05-11 20:24
백제왕도 부여에 대한 의문~
 글쓴이 : 향수
 
 
전 문화재청장과 일본인이 답사한 부여는 백제의 왕도인가?

아래는 전 문화재청장인 유홍준씨의 베스트셀러였던 기행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3> 329쪽에 나와 있는 문장이다.

(인용) 부여를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이 한결같이 하는 말이 있다.

“원 세상에, 부여가 이렇게 작을 수 있어요?”

“아니, 부여가 아직까지 읍이었단 말예요?”

“아직도 관광호텔 하나 없다고요?”

부여는 정말로 작은 읍이다. 인구 3만 명에 시가지라고 해야 사방 1km도 안되는 소읍이다. 그래서 가람 이병도선생도 <낙화암>이라는 기행문에서 부여의 첫 인상을 “이것이 과연 고도(古都) 부여란 말인가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그 허망부터 말했다.

부여에 대한 이런 허망은 어쩌면 우리 머리 속에 은연중 들어앉은 부여에 대한 환상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부여는 백제의 123년간 도읍지로 백제 왕도의 유적이 있으리라 기대해보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막상 부여에 당도해 보면 왕도의 위용은커녕 조그만 시골 읍내의 퇴락한 풍광뿐인 것이다. (인용 끝)

일본인들은 백제가 일본의 원천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백제의 고도였다고 하는 한성(서울), 웅진(공주), 사비(부여)에 관심이 아주 많다. 그런데 막상 가보면 전부 실망한다. 해양대제국 백제의 고도가 너무 형편없다는 것이 그들의 공통적 느낌이다. 왜 그럴까? 그것은 풍납토성, 공주, 부여가 백제의 왕도로 조작된 도시이기 때문이다. 일제 때인 1937년 일본인이 쓴 기행문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인용)“정작 부여에 도착하니 시가지라고 하는 것이 함석지붕과 나무판자집들이 두 블럭 정도 줄지어 있는 것이 전부였고 그 안쪽으로는 울타리도 없는 초가지붕에 박이 널려있는 평범한 시골풍경뿐이어서 도저히 자신이 생각한 부여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부여를 다녀온 뒤 그가 다시 친구들을 만나서 부여를 가본 적이 있느냐 물으니 모두들 아직 못 가봤다고 대답해서 또 한 번 놀랐다고 했다. 부여는 이처럼 가보지 않은 자에게는 환상을, 가본 자게는 실망을 주는 곳으로 어떤 답사객은 “꼭 네다바이 당한 것 같다.”고 까지 했다.”

현재 부여에 가서 백제 유적으로 만나는 것은 오직 정림사 오층석탑 하나뿐이다. 또 있다면 반은 뭉개진 해발 100m의 부소산과 가난한 물줄기의 백마강가의 낙화암이 있을 뿐이다. (중략) 그래서 부여에 오면 우선 부소산에 올라 낙화암에서 삼천궁녀가 떨어졌다는 거지같은 전설의 절벽과 백마강을 내려다보고, 고란사에 가서 고란초라도 봐야 부여에 다녀왔다 소리를 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을 갖게 된다.

바로 이 점 때문에 부소산에 오르는 사람은 또다시 부여를 욕되게 말할 지도 모른다. 엉겹결에 보는 낙화암은 그 스케일이 전설에 어림없고, 고란사는 초라한 암자로 절 맛이 전혀 없으며, 부소산성이라는 것은 말이 산성이지 뒷동산 언덕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한마디로 모든 게 잔망스러워서 무슨 전설과 역사를 여기다 갖다 붙인 것이 가당치 않다는 생각이 절로 날 것이다. (인용 끝)

유홍준씨의 <나의 문화유적답사기>란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어 세간에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문화유적을 관광하는 사람들의 손에는 꼭 이 책이 들려 있었을 정도였다. 그런 전문가의 눈에도 “부여는 과연 백제의 왕도인가?”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였다고 했다




그렇다. 그의 느낌은 정확했다. 그의 느낌대로 부여는 백제의 마지막 왕도가 아니다. 일제는 고대 삼국이 한반도에 있었다는 반도사관을 정착시키기 위해, 백제의 수도로 한성(서울) 웅진(공주) 사비(부여)로 조작하고, 논산을 황산벌이라 했고 금강을 백마강으로 조작해 버렸다.

그리고 노랫말로 허구의 삼천궁녀와 낙화암이라는 전설을 만들어 냈다. 게다가 백제 부흥운동의 주역인 흑치상지가 활동했던 임존성(任存城), 주류성(周留城)도 한반도 안에 있었다고 조작해 버렸다.


그런데 문제는 그러한 반도사관의 이론이 아직도 고쳐지지 않고 그대로 전해져, 백제가 충청도와 전라도 일대, 신라는 경상도 일대에 있었다고 사학계는 국민들을 속이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은 일제의 식민사관으로 생겨난 엉터리 사학이론이 정치인들에게 이용되어 전라도 백제, 경상도 신라로 나뉘어 대립을 하는 지역주의로까지 발전한다. 그런 지역주의가 얼마나 허황되고 창피스럽고 무지한 것인지 사서의 기록을 더듬어 보기로 하자.




백제가 산동성에 있었다는 증거

현 국사책에 나오는 백제의 줄거리는 백제는 b.c 18년 온조대왕이 하남 위례성(서울)에 개국했고, 전성기인 13대 근초고왕 때 마한을 병합하고 대륙에 진출해 요서/진평에 무역기지를 두었으며, 21대 개로왕 때 한강변에 제방을 쌓았으며 개로왕이 고구려 장수왕에게 죽자, 아들 문주왕이 웅진(공주)로 천도하고, 26대 성왕 때 사비(부여)로 천도했다가 660년 나당연합군에게 망했다고 되어 있다.

물론 교과서 내용은 사실(史實)과 많이 다르다. 백제의 본거지는 대륙의 산동성이고, 패망도 역시 산동성에서 했다. 백제가 대륙에 있었던 증거는 여러 가지가 있다. 핵심은 한반도에 있던 백제가 잠시 대륙으로 진출한건지, 아니면 백제는 아예 대륙에 있었는지가 논쟁의 관건이다. 우선 아래는 백제의 수도가 한반도에 없었다는 증거들이다.

(1) 근초고왕 때 한반도에서 대륙으로 진출하였다고 하는데, 백제의 역사기록은 원래 대륙이다.

(2) 북위와 5차례 큰 전쟁을 치룬 백제 동성대왕의 무대는 대륙이고, 동성대왕의 궁전인 임류각은 산동성에 있었고 또 거기서 대왕이 죽었다.

(3) 당나라가 한반도백제를 멸하려면 중국 땅에서 대륙백제와 먼저 전쟁해야 하는데 그런 기록이 없고, 황해를 건너왔다면 당나라와 해상강국 백제와의 해전 기록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기록은 없다.

(5) 서울대 천문학과 박창범 교수가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일식기록을 분석한 결과 최적관측지가 발해만으로 나온다.

(6) 만약 한반도 백제가 본토라면, 본토의 20배 크기의 땅을 수백 년간 다스렸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

(7) 인구의 역사로 보아도 백제의 수도는 산동성 일대에 있어야 합리적이다.

(8) 백제의 8대 성씨가 반도에는 없고 대륙에 있다.

(9) 그 외 백제가 대륙에 있었다는 증거가 많다. (향도,조공,제방,기상,특산물, ...)




나중에 하나하나 자세히 언급하기로 하고 지금은 백제의 마지막 수도 사비성이 한반도에 있었는지 대륙에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부여박물관에 가면 부여에서 발견된 비문 탁본이 하나 있는데, 거기에는 분명 내지성(奈祗城)으로 되어 있다. 이 탁본만 봐도 부여는 사비성이 아니라 내지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경기도 시흥시는 관내의 소래(蘇來)포구를 소정방이 왔기 때문에 소래포구라 한다고 시민들에게 자랑스럽게 홍보하고 있다. 제주도 정방폭포의 이름은 소정방이 제주도에 온 적이 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따 정방폭포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참으로 기가 막힐 일이다.

또 부여를 흐르는 강이 백마강으로 불리게 된 것은 당나라 소정방이 백마를 미끼로 하여 나라를 지키고자 호국의 용이 된 무왕을 낚았다는 엉터리 같은 전설에 바탕을 둔 것이다. 소정방이 백말을 미끼로 용을 낚았다는 바위가 백마강에 조룡대라는 이름으로 지금도 남아있다고 자랑스럽게 떠들고 있다.

참으로 엄청난 무지의 소치라 아니할 수 없다. 일제가 만든 식민사관의 약발이 아직까지 듣고 있다니 기가 찰 노릇이다. 결론부터 먼저 말하자면 소정방은 한반도에 온 적이 없다. 왜냐하면 백제가 한반도에 없었기 때문이다. 소정방이 왔다는 것은 백제 패망지이므로 소정방의 위치를 추적해 보면 백제의 위치를 저절로 알 수 있을 것이다.

부여의 옆을 휘감아 도는 강 이름을 백마강이라 하나, <삼국사기>와 <신.구 당서> 등 모든 역사기록에는 "백강"으로 기록되어 있다. <당서>에 보면 소정방은 백제패망 전에도 백강에서 낚시를 가끔 했다고 적혀있다. 그럼 소정방은 한반도 백마강까지 바다건너 낚시하러 왔단 말인가? 이 이야기는 백강이 당나라의 영역이든가 국경선이었고, 백제와 당나라가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는 근거이기도 하다.




최후를 맞는 백제의 수도는 어디?

아래는 <삼국사기 신라국본기> 기록에 의한 것이다.

< 백제의 마지막 왕은 무왕의 아들인 31대 의자왕이다. 의자왕은 대외적으로는 영토를 많이 넓히고 대내적으로 정치를 잘해 당시에 해동증자(海東曾子)로 불릴 정도였다. 그런데 그런 의자왕이 술과 여자에 빠져 정치를 게을리하고 충신을 멀리하고 간신을 가까이 두었다고 역사는 기록하고 있다. 그렇게 기록된 것은 역사란 승자의 기록이기 때문이다. 만일 백제가 천하통일을 했다면 의자왕은 아마 명군으로 기록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의자왕은 고구려와 합세하여 신라와 당나라와의 통로인 당항성(黨項城)을 빼앗고, 대야성을 공격하여 김춘추의 딸과 사위의 머리를 베어 수도로 보낸다. 사학계는 대야성을 합천으로 비정했다. 과연 그럴까? 여하튼 국가가 총체적인 위기로 몰리고 자체적으로 딸과 사위의 복수를 하려 했으나 군사력이 없던 신라의 김춘추는 고구려 연개소문을 찾아 갔으나 거절당하자 당나라에 들어가 원병을 요청한다. >

여기서 이상한 기록이 있다. 백제가 당항성을 빼앗자 신라와 당나라와의 통로가 끊겼다는 기록이다. 현 역사이론이라면 육지에 있는 당항성과 신라와 당나라와의 통로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 신라는 바닷길이 당나라와의 통로이지 않은가! 그런데 왜 육지에 있는 당항성을 잃자 통로가 끊겨졌을까? 즉 이 이야기는 백제와 신라가 한반도에 있지 않고 당나라와는 육지로 연결되어 있다는 말인 것이다.

신라는 진덕왕 때부터 중국의 의관을 착용하고, 자체 연호를 버리고 당나라의 연호인 영휘(永徽)를 쓰는 속국이 된다. 국가의 위기도 하나의 이유지만 개인적으로 딸의 복수를 위한 적개심 때문에 외세를 끌어들이고 스스로 속국임을 자청한 신라의 모습을 보면 이성계의 조선이 명나라의 힘을 빌기 위해 스스로 속국이 된 것과 같다는 생각이 든다.

당나라는 소정방을 신구도행군대총관(神丘道行軍大摠管)으로 신라 김인문을 부대총관으로 임명하여 13만 대군을 동원한다. 이 때 신라왕이 된 김춘추를 우이도행군총관(嵎夷道行軍摠管)으로 삼아 지원케 한다. 보통 군을 동원하여 직책을 내릴 때 정벌할 지방의 명을 따는 것이 상례이다. 당나라가 고구려를 공격할 때 이세적장군에게 내린 직책이 요동도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摠管)이다. 요동은 하북성에 있는 고구려를 의미한다.

백제를 정벌하는 김춘추의 직책인 우이(嵎夷)는 바로 산동성을 의미한다. 즉 당나라는 산동성에 있는 백제를 정벌하러 간 것이다. 자고로 중국의 고지도에는 북경 이동과 한반도의 지도와 지명이 없다. 송나라 때 만든 지도인 우적도에도 만주와 한반도는 아예 안 그려져 있다. 그러므로 만일 당나라가 한반도에 있는 백제를 정벌하러 갔다면 지명부터 새로 만들었을 것이다.




아래는 <삼국사기>의 기록이다.
"여름 5월 무열왕이 김유신을 대동하고 군대를 이끌고 서울을 떠나 6월에 남천정에 주둔하였고, 당나라는 협주를 떠나 전선을 거느리고 동(백제)을 향하여 물길을 따라 내려왔다. 무열왕이 병선 100척과 함께 태자를 보내 덕물도에서 소정방을 영접하게 하였다." 이 덕물도를 사학계에서는 한반도의 옹진 앞바다 덕적도라고 한다. 과연 그럴까?

이 때 소정방이 태자에게 말하기를 “나는 7월 10일에 백제 남쪽에 당도하여 군사와 회합하여 의자왕의 도성을 무너뜨리려 하오.”하니 태자가 말하기를 “우리 대왕이 지금 대군을 고대하고 계시는 터이라 만약 대장군이 오셨다는 말을 들으시면 반드시 잠자리에서 식사를 하고 오시리라”하였다.

여기서 이 장면은 분명 대륙에서 일어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무열왕이 5월에 수도를 떠나 6월에 남천정에 주둔했다고 기록했는데, 한반도라면 경상도 경주에서 출발하여 백제 국경까지 가는데 한달씩이나 걸릴 정도로 그렇게 넓었는지? (5월말에 떠나 6월초에 도착했다고 억지를 부릴 수도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상황을 보라)

당나라가 출발하는 같은 달에 이미 무열왕이 군대를 이끌고 기다리고 있었고 태자를 보내 덕물도에서 영접케 한 것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일이 아닌 것이다. 그리고 분명 당나라는 물길을 타고 동으로 내려왔고, 내려오니 신라 태자가 기다렸다고 기록하였다. 바다를 건넜다는 기록은 물론 없다.

또 소정방은 7월 10일에 백제 남쪽에 도착한다고 말했다. 무열왕이 5월에 먼저 출발했으니 무열왕의 금성 출발은 소정방의 백제 도착 최단40일 ~ 최장70일 전이다. 한반도 경주에서 백제까지는 그렇게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다. 그렇게 40~70일이나 신라가 왕이 직접 나서서 군사행동을 먼저 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그래서 이건 분명 대륙에서 일어난 것으로 보는 것이다.




바다를 건넜다는 기록도 없고, 백제는 22개 담로를 건설한 해양제국이었는데 당나라가 황해를 건너려면 백제와 해전을 해야 하는데 그런 기록도 없다. 해양강국 백제의 앞 바다에 신라 배 100척이 나타나 소정방을 영접했는데도 아무런 저항을 안 받는다는 것은 이상한 일이다. 그래서 신라 태자가 배 100척을 거느리고 영접한 곳인 덕물도는 한반도의 덕적도가 아니라 바로 대륙 어딘가에 있는 지명으로 보는 것이다.

당나라가 한반도백제로 떠나기 전에 산동백제와 전투한 기록도 없다. 그럼 그 때 산동성엔 대륙백제가 없었을까? 160년 전인 동성대왕 시대에도 대륙의 동부 평야지대를 전부 차지한 백제였는데, 그 사이에 대륙백제는 명맥이 끊어졌을까?

백제는 대륙에 없었고 한반도 서부에만 있었다고 보는 것이 식민사학계의 이론이다. 대륙 산동성에 백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조금 더 살펴보기로 하자.

7월 김유신이 황산의 평야로 나가 백제의 계백장군과 전투를 벌여 4번을 싸웠으나 이기지 못했다. 그러나 관창의 희생으로 사기충천한 신라는 백제군을 격파한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같은 날 소정방이 기벌포에 도착해 백제군과 싸워 이겼다는 기록이다. 한반도 덕적도에 6월에 도착한 소정방이 왜 이리도 늦게 기벌포에 도착한 것일까? 기벌포까지 최단 10일 ~ 최장 40일 걸렸다.

위의 상황을 종합해 보면, 5월 무열왕의 출발에서부터 6월 소정방과 신라태자가 만나고 7월 10일 경 소정방이 기벌포에 오기까지는 최단 40일 ~ 최장 70일 걸렸다. 소정방이 6월말에 덕적도에 도착했다면 기벌포까지는 최소 10일 이상 걸린 것이고, 그렇다면 5월말에 무열왕이 금성을 떠났으면 최단 30일간 ~ 5월 초면 최장 60일간 신라의 무열왕은 어디에서 뭘 했단 말인가?

반대의 경우를 생각해도 마찬가지이다. 5월말에 무열왕이 떠나고 소정방이 6월 초에 덕물도에 도착했으면, 이 건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후 덕물도에 도착한 소정방이 기벌포에 나타나는 7월 10일까지 40일간 그는 어디에 있었는가?
덕물도와 기벌포는 같은 한반도라면 한반도 내에서 소정방이 이동하는데 40일이 걸렸단 말인가? 한반도 백제가 그렇게 큰가?

여하튼 무열왕 출발에서부터 기벌포에 소정방이 나타나기까지 40일 ~ 70일 걸렸다는 것은 땅덩어리가 큰 곳에서 벌어진 상황이지 좁은 한반도에서는 상식적으로 날자 계산이 맞지 않는 상황인 것이다. 위에서 보았듯이 대륙이 아니면 잘 설명이 안 되는 싱황인 것이다. 이 날자 계산에는 이론(異論)이 있을 수 없다.

사학계에서는 당나라가 중국에서 떠나 한반도까지 오려면 그 정도는 걸린다고 말할 수도 있으나, 그렇다면 뭐 하러 무열왕이 김유신과 함께 5월에 소정방을 맞으러 먼저 출발한단 말인가? 그럴 이유가 전혀 없지 않은가! 3~4일이면 경주에서 백제 국경까지 가고도 남음이 있는데 40~70일 전에 움직인 이유는 무엇으로 설명하려는가?

기록과 같이 무열왕과 김유신이 소정방이 도착하기를 기다리고 도착 후 모든 작전계획이 실행된 것을 보면, 무열왕과 김유신과 소정방이 한반도에 있었다면 그런 스토리가 엮이지 않는다. 다들 대륙에 있었기 때문에 그런 기록이 남은 것이다.

현 국사책의 이론은 당나라는 서쪽 바다 건너고, 백제는 한반도 서남부이고, 신라는 동남부이다. 기록에는 당나라가 신라를 먼저 만난 후 백제로 간다. 그렇다면 소정방의 배가 신라바다까지 가야 하는데 백제 앞바다를 거쳐야 하므로, 당연히 신라가 황해바다 어딘가에서 영접을 했을 것이다.

현재 사학계는 신라태자가 덕적도(옹진 앞바다)로 영접을 갔다 하는데, 거긴 백제 또는 고구려 지역으로 해상강국 백제와 고구려 수군이 신라 배 100척을 가만 놔둘 리가 없고, 또 해전이 벌어졌다면 태자와 소정방이 참전한 해전이므로 당연히 기록이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그런 해전 기록이 그 어디에도 없다. 고구려/백제는 수군이 전혀 없었단 말인가?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바로 이 상황은 대륙에서 발생한 전쟁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신라는 당연히 당나라가 도착한 것을 확인한 후 백제와 전투를 시작한다. 첫 전투가 황산전투라고 치고 다음의 상황을 보자. 김유신과 계백의 5번의 전투가 얼마나 소요되었는지 몰라도 최소한 10일 이상이다. (하루 전투해 져서 다음날 재정비해서 그 다음날 또 도전했다 하더라도 최소 10일은 걸린다.)

덕적도와 기벌포가 같은 한반도 내에 있었으면 이렇게 늦게 소정방이 도착할 리가 없다. 덕적도에서 신라 태자를 만난 후 출발한 소정방의 첫 전투지인 기벌포까지 그렇게 오래 (최단 10일 ~ 최장 40일) 걸린 것은 한반도가 아니라 대륙이라고 봐야 한다.

이후 7월 13일 의자왕이 웅진성(熊津城)으로 달아나고, 18일 드디어 웅진성에서 나와 의자왕이 항복한다. 해양대제국 백제의 31대 700년 사직이 쓰러지는 안타까운 순간이었다. 의자왕은 온갖 수모를 당하고, 9월 3일 소정방은 백성 12,000명과 함께 의자왕을 끌고 사비성으로부터 배를 타고 당으로 돌아갔다고 기록되어 있다.

백제는 국가가 썩어서 망한 것이 아니라, 잘 나가다가 적의 기습을 예측 못하고 방심하고 있다가 단 몇 번의 전투에 패해 수도가 무너지고 왕이 항복해 급격히 패망한 것이다. 즉 국가 실력으로 볼 때 패망할 정도가 아니었는데 공교롭게도 상대 특공대의 기습 공격에 카운타 펀치를 급소에 정통으로 맞아 한방에 k.o된 것으로 봐야 한다. 그건 흑치상지가 벌인 부흥운동이 잘 대변해주고 있다.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 국민은행 474901-04-153920 성사재인(김갑수)


그때그모습 15-05-11 22:10
 
침 한번도 안삼키고 잘 읽고 갑니다.
사오리 15-05-11 23:04
 
차분한 상태에서 열광하던 때를 생각해야,
흥분하여 때의 분주함이 아무런 보탬이 안
됨을 알게 되고, 번잡한 곳에서 한가한 곳
에 자리한 뒤에야 한가한 즐거움이 가장 오
래감을 깨닫게 된다.
혁명밀알 15-05-12 00:29
 
백제는 실존적으로 중국 대륙에 존재했다 라는 논쟁
폼생폼사 15-05-12 12:21
 
추상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실체적인 것이 무엇인지는 대략적인 감만 잡을 수
밖에는 없군요.
폼생폼사 15-05-12 12:34
 
-- 백제의 마지막 왕도가 아니다. 일제는 고대 삼국이 한반도에 있었다는 반도사관을 정착시키기 위해, 백제의 수도로 한성(서울) 웅진(공주) 사비(부여)로 조작하고, 논산을 황산벌이라 했고 금강을 백마강으로 조작해 버렸다.
문제의 출발점이군요
빈병 15-05-12 13:06
 
경기도 시흥시는 관내의 소래(蘇來)포구를 소정방이 왔기 때문에 소래포구라 한다고 시민들에게 자랑스럽게 홍보하고 있다.
 제주도 정방폭포의 이름은 소정방이 제주도에 온 적이 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따 정방폭포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참으로 기가 막힐 일이다.
선유도 15-05-12 14:34
 
서울대 천문학과 박창범 교수가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일식기록을 분석한 결과 최적관측지가 발해만으로 나온다.
등대 15-05-12 16:29
 
백제는 국가가 썩어서 망한 것이 아니라, 잘 나가다가 적의 기습을 예측 못하고 방심하고 있다가
단 몇 번의 전투에 패해 수도가 무너지고 왕이 항복해 급격히 패망한 것이다.
즉 국가 실력으로 볼 때 패망할 정도가 아니었는데 공교롭게도 상대 특공대의 기습 공격에 카운타 펀치를
급소에 정통으로 맞아 한방에 k.o된 것으로 봐야 한다.
그건 흑치상지가 벌인 부흥운동이 잘 대변해주고 있다.
만사지 15-05-12 19:12
 
백제는 대륙에 없었고 한반도 서부에만 있었다고 보는 것이 식민사학계의 이론이다
그때그모습 15-05-12 21:15
 
보통 군을 동원하여 직책을 내릴 때 정벌할 지방의 명을 따는 것이 상례이다. 당나라가 고구려를 공격할 때
이세적장군에게 내린 직책이 요동도행군대총관(遼東道行軍大摠管)이다. 요동은 하북성에 있는 고구려를 의미한다
꿈이였어 15-05-12 22:20
 
의자왕은 온갖 수모를 당하고, 9월 3일 소정방은 백성 12,000명과 함께 의자왕을 끌고 사비성으로부터
배를 타고 당으로 돌아갔다고 기록되어 있다.
가우스 15-05-12 23:58
 
잃어버린/역사
 
 

Total 9,90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2414 박정현 - 천일동안 [나는 가수다3] (3) 딴따라고사리 05-13
2413 화장실에서 보는 책 < 윽 똥이다> (6) 객1 05-13
2412 다산정약용의 한(漢)-송(宋) 수사학적 시야(視野) (9) 선유도 05-13
2411 다산정약용의 경학(經學) 체계 (11) 선유도 05-13
2410 신화를 벗겨낸 예수의 정체 (2) (8) 게리 05-13
2409 신화를 벗겨낸 예수의 정체 (1) (8) 게리 05-13
2408 막장 드라마 한편: 창세기 38장 1절~10절, 12절~26절 (6) 게리 05-13
2407 우리 엄마 본동댁 (8) 혁명밀알 05-13
2406 현자의 망각과 바보의 중상모략 (10) 가우스 05-12
2405 이태석의《친구가 되어 주실래요?》 * 행복 정석 (5) 사오리 05-12
2404 천부인권과 권리(right) (10) 만사지 05-12
2403 다산 정약용의 저항권론( 抵抗權論) (10) 선유도 05-12
2402 너의 목소리가보여 (5) 딴따라고사리 05-12
2401 억지로 끼워 맞춘 예수신화(2) (9) 게리 05-12
2400 억지로 끼워 맞춘 예수신화 (11) 게리 05-12
2399 [레고바이블] 롯과 두딸 추가내용 (8) 게리 05-12
2398 판밖성도의 천지도수 - 문왕도수의 시발점 변산 (17) 칠현금 05-12
2397 역경에서의 생존률 (8) 혁명밀알 05-12
2396 류웨이의《죽거나, 멋지게 살거나》 * 멋지게 살기 위해서 (8) 사오리 05-11
2395 백제왕도 부여에 대한 의문~ (12) 향수 05-11
2394 광저우 모델의 ′노래가 늘었어′ [너의목소리가보여] (5) 딴따라고사리 05-11
2393 현대판 남녀평등 (6) 객1 05-11
2392 다산정약용의 혁명론( 革命論) (10) 선유도 05-11
2391 뇌 연구의 역사 - 미소전극실험과 뇌 기능의 국재(局在)성 (7) 옥수 05-11
2390 [개이독친일자료] 친일먹사 이명직의 성결교 해산성명서 (8) 게리 05-11
2389 찬송가 부르며 수만명을 죽인 서북청년단의 만행 (7) 게리 05-11
2388 [레고바이블] 예수의 율법준수 vs 바울의 율법폐기 (7) 게리 05-11
2387 제 133편「중국」 28- 미국 vs 마오쩌둥 vs 장제스의 3자 두뇌싸움의 결과 (14) 전설따라소설쟁이 05-11
2386 나에게는 아직 열정이 남아 있는가? (9) 혁명밀알 05-11
2385 판밖성도의 천지도수 - 태봉산에 대하여(전편보충) (17) 칠현금 05-10
2384 김수영의《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 * 아플 틈도 없다 (7) 사오리 05-10
2383 목면가왕 6회 황금락카 정체- 루나 (3) 딴따라고사리 05-10
2382 다산정약용의 평등론 2 (8) 선유도 05-1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