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9-04-07 11:57
<천주집>“이게 나라냐?” 절망에 빠진 백성들. 남인 내분속 채제공 편들다 처남과 원수로
 글쓴이 : 게리
 

“이게 나라냐?” 절망에 빠진 백성들, 새 세상 꿈꾸며 천주교로 몰려들다

<25> 남인과 천주교

[정민의 다산독본] 

백성은 당장 굶어죽을 판인데도

조정은 수십년 간 이념 논쟁만

“누군가 나타나 유토피아 열 것”

정감록 등 신앙이 민간서 횡행

허무맹랑하지 않고 신문명 담긴

천주교 교리 민간에 빠르게 퍼져

신분ㆍ남녀 차별의 벽 허물기 시작

온마을ㆍ온집안이 순식간에 신자로

윗 그림은 홍대용의 연행 당시 풍경을 기록한 북경 유리창의 모습, 아래 사진은 20세기 초 북경 유리창 모습. 병자호란의 
청나라는 북벌의 대상이었다. 허나 북경을 찾은 조선 지식인들은 북벌 대신 북학을 주장했다. 새로운 세상에 눈을 떴기 
때문이다.
종교와 정치 

여기서 잠깐 눈길을 돌려야겠다. 조선의 천주교는 남인을 빼고 생각할 수가 없다. 종교와 정치는 접점이 예민하다. 불꽃이 튄다. 이 접점으로 인해 문제가 안 될 일이 큰 문제가 되고, 정작 문제가 될 일은 아무렇지 않게 넘어가기도 한다. 천주학은 남인 집단 내부에서 발생하고 성장했다. 노론에서 나왔다면 그저 넘어갔을 일이, 견제와 배제의 대상인 남인 집단에서 터져 나오고, 여기에 진영 내부의 복잡한 사정이 겹치면서 천주교 문제는 차츰 뜨거운 감자로 변했다.

숙종 이후 조선은 노론의 나라였다. 노론은 세자를 죽음으로 내몰고, 임금도 바꿀 수 있는 절대 권력이었다. 1776년 3월 정조가 보위에 올랐다. 한 달이 채 못 되어 아버지 사도세자의 복권과 죽음의 책임을 묻자는 이덕사(李德師)와 박상로(朴相老)의 상소가 올라왔다. 정조는 그들을 그날로 대역부도의 죄를 물어 목 베어 죽였다. 참혹하게 죽은 아버지의 명예를 회복하고, 원수를 갚자는 상소를 극형으로 처벌하는 아들의 심정이 어땠을까? 노론 벽파의 서슬은 새 임금 앞에서도 퍼랬다.

젊은 임금은 힘을 갖출 때까지 입을 다물었다. 겉 다르고 속 다른 행보가 시작되었다. 그 행간을 너무 일찍 읽히면 속내를 들킬까 봐, 임금은 속으로 울면서 그들의 목을 벴다. 자신의 뜻을 뒷받침해 줄 정치 세력의 양성이 시급했다. 노론 벽파의 가장 큰 희생양은 남인이었다. 이들은 숙종 이래 100년 가깝게 존재감 없는 야당이었다. 남인 한 사람을 조정에 올리자면 수많은 견제와 방해가 뒤따랐다. 한 사람의 이름이 오를 때마다 경계의 눈초리가 살벌했다. 작은 흠만 나오면 벌떼처럼 달려들어 내쳤다. 이 때문에 남인을 정치 세력으로 키우는 일은 속도가 너무 더뎠다. 여기에 천주교 문제가 포개지자 임금의 구상은 한층 더 꼬이기 시작했다.

서로 다른 꿈 

너무 오래 지속된 좌절의 터널 속에서 재기의 꿈을 접을 수밖에 없었던 남인들은 다른 룰이 적용되는 새로운 세상을 꿈꿨다. 그런데 그 꿈이 저마다 달랐다. 일군의 남인 학자들은 유학의 원점으로 되돌아가 고대적 이상을 회복할 때 요순의 세상이 다시 열릴 것으로 믿었다.

그들은 유학의 고전들을 새롭게 소환했다. 그 선두에 성호 이익이 있었다. 그는 주자를 넘어 공맹의 원천 사유를 들여다보아야 한다고 외쳤다. ‘성호사설’과 유명한 질서(疾書) 시리즈로 실천적 모범을 보여주었다. 그의 제자와 후학들은 경학 공부에 더해 토지제도를 연구하고, 행정 제도를 쇄신하여 국가를 혁신하자고 목청을 높였다. 하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95%를 차지한 상위 5%의 귀에는 가 닿지도 않았다.

다른 한편에서는 서학의 적극적 도입을 외쳤다. 연행(燕行) 길에 직접 목격한 중국의 변화는 눈부셨다. 북경의 쇼핑가였던 유리창(琉璃廠) 거리에는 자명종뿐 아니라 오르골(뮤직 박스)까지 팔고 있었다. 태엽만 돌리면 음악이 나왔다. 북경 성당에서 들은 파이프 오르간 연주는 천상의 음악 같았다. 북경 관상감의 천문대에서 각종 천문관측 기구를 보고 나자, 대나무 살을 얽어 만든 조잡한 혼천의(渾天儀)를 들고서 최첨단의 지성임을 과시하던 이들은 대번에 말문이 꽉 막혔다.

이들은 귀국 후 국시였던 북벌(北伐)을 버리고 북학(北學)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상대적으로 사행(使行) 참여의 기회가 많았던 노론 자제들의 입에서 이 목소리가 먼저 터져 나왔다. 이것이 국가보안법을 살짝 건드렸다. 이들은 선진 과학문물을 적극 받아 들여 막힌 혈관을 뚫고, 국가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생각했다. 서학서를 더 열심히 읽어 천문과 역학의 놀라운 세계를 섭렵해 나갔다. 신기한 서양의 기기(奇器)를 도입하는 선진화를 꿈꿨다. 그런데 막상 천주교 신앙은 북학을 외친 노론의 신진기예에게서가 아니라 뜻밖에 남인의 그늘로 여진(餘震)처럼 슬며시 스며들었다.

이후 서학에 대한 상이한 접근 태도는 남인 내부에서 안정복으로 대변되는 공서파(攻西派)와 권철신 일계의 신서파(信西派)로 갈려, 분화를 재촉했다. 병증에 대한 처방과 진단이 달랐던 것이다. 뒤에 살피겠지만 여기에 더해 채당(蔡黨)이니 홍당(洪黨)이니 하는 남인 내부의 정쟁이 포개지면서 갈등이 증폭되었다.

어딘가 있지만 어디에도 없는 유토피아 

민중에게는 당장 입에 들어갈 먹거리가 문제였다. 제 힘으로 어쩔 수 없자 바다 밖에서 배를 타고 진인(眞人)이 나타나 새로운 세상을 활짝 열어 주리라는 정감록(鄭鑑錄) 신앙이 민간에 횡행했다. 이전부터 익숙한 미륵하생(彌勒下生) 신화의 변주였다.

가렴주구를 못 견뎌 전란에도 아무 해를 입지 않는다는 십승지(十勝地)에 대한 풍문이 걷잡을 수 없이 퍼졌다. 남부여대(男負女戴), 가산을 등에 지고 머리에 인 채 심산궁곡(深山窮谷)으로 떠나는 행렬이 줄을 이었다. 그들이 꿈꾼 도화낙원은 어딘가 분명히 있겠지만 결코 가 닿을 수 없는 무릉도원 같은 곳이었다. 상주의 식장산(食藏山)과 속리산의 우복동(牛腹洞), 지리산의 청학동(靑鶴洞)과 강릉의 이화동(梨花洞) 같은 별세계의 소문이 꼬리를 물었다. 그곳으로 가는 경로와 위치를 표시한 지도가 민간에 떠돌아다녔다.

경북 영주 풍기읍에 표시된 정감록의 십승지 표시. 한국일보 자료사진
옛 고지도에 표시된 청학동. 조선인들을 안전하게 숨어들 곳만 찾았다.

그 빈틈을 비집고 유사종교가 파고들었다. 절망에 빠진 민중에게 의식주의 문제가 해결되는 유토피아의 환상을 심었다. 머잖아 새 세상이 열린다. 그 꿈을 행동으로 옮기면 역모가 되었다. 1782년(정조 6)의 문인방 역모사건, 1785년(정조 9)의 문양해 역모사건, 1787년(정조 11)의 김동철 역모사건이 그랬다. 공통점은 모두 ‘정감록’ 신앙을 배경에 깔고 있다는 것이다. 민심이 흉흉했다.

이게 나라냐? 

이 서로 다른 꿈이 만나는 꼭지점에 천주교가 있다. 도(道)는 존재하는가? 세상은 나아지고 있는가? 희망이 있는가? 주리(主理)와 주기(主氣)로 한 백 년쯤 싸우고, 3년 복을 입느냐 1년 복을 입느냐로 몇십년 다투는 사이에 수많은 목숨이 스러지고 정권의 향배가 갈렸다. 그러고 나서는 인성과 물성(物性)이 같으냐 다르냐로 또 한 백년을 싸웠다.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와 대명 의리의 유령이 그 배후에 있었다.

그게 그렇듯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인가? 그들이 말하는 도와 리(理)는 백성들의 삶과는 아무 상관이 없었다. 실록에는 굶주린 백성이 자식을 바꿔 잡아먹었다는 기사가 실리고 있었다. 가뭄 끝에 홍수 나고, 홍수 뒤에 전염병이 돌았다. 추수할 것도 없는 빈 들판 너머에서 극강의 한파가 몰아닥쳤다. 그 와중에도 위정자들은 황구첨정(黃口簽丁)과 백골징포(白骨徵布)의 수탈에만 혈안이 되어 있었다. 백성의 안위는 안중에도 없었다. 이게 나라냐?

천주교는 어딘가 달랐다. 미륵이 하생(下生)하고 진인이 건너온다는 추상적이고 불안한 풍문보다 간결했다. 요승(妖僧)이나 도사의 술법과 비기(祕記)나 술서(術書), 부적과 주문 같은 추상성이 없고 투명했다. ‘칠극(七克)’과 ‘진도자증’ 같은 교리서는 중국에서 이미 공인된, 검증을 거쳐 출판된 책이었다. 무엇보다 그 내용이 허무맹랑하지 않았고, 게다가 도덕적이었다. ‘칠극’ 같은 책은 유학자들이 수신서로 읽어도 손색이 없었다. 그들이 꿈꾸던 새로운 세상이 그 안에 담겨 있었다. 게다가 그 배경에는 놀라운 선진 과학문명의 아우라가 비쳤다. 우리도 믿으면 그들처럼 될 수 있다. 새로운 세상, 차별과 억압이 없고, 폭력과 압제가 사라져, 힘 있는 평화의 세상이 열린다.

비참한 인생에 비쳐 든 무지개 

천주교는 양반과 상놈의 구분, 남자와 여자의 차별을 먼저 허물었다. 갑과 을의 상하 관계가 어느 순간 수평적 관계로 변했다. 그들은 초대 교회의 교인들처럼 자기 것을 아낌없이 덜어 조건 없이 나눴다. 기도를 하면 이유 모를 눈물이 흘렀고, 비참하던 인생에 무지개의 희망이 걸렸다. 고해성사를 할 때마다 영육이 온전히 정화되는 신비한 체험을 했다.

양반가의 아낙네들이 외간 남성인 가성직 신부들에게 자신이 지은 죄를 고해할 수 있게 해달라고 애원을 했다. 난감해진 신부들은 어떻게든 이 고역에서 벗어나 보려고 했지만 그녀들의 성화를 당해낼 방법이 없었다. 그녀들은 자신이 지은 죄를 울면서 고해했다. 신부는 그녀들에게 작은 죄는 보속(補贖) 대신 불쌍한 이들에게 재물을 희사하게 했다. 큰 죄는 신부에게 종아리를 맞았다. 그녀들이 고백한 죄는 어떤 내용이었을까? 슬며시 궁금해진다. 모두 달레의 ‘조선천주교회사’에 나오는 이야기다. 남녀의 구별이 유난스럽던 당시 조선 사회의 시선에서 보면 해괴하기 짝이 없는 변고였다.

현세에서 겪는 육체의 고통쯤이야 천국에서 장차 누리게 될 기쁨을 생각하면 아무 것도 아니었다. 복음을 실천하면 천국에 보화가 쌓인다고 했다. 천국에 먼저 든 나자로의 이야기는 더 없는 위로였다. 시어머니의 학대가 더 이상 고통스럽지 않았다. 오히려 연민의 정으로 더욱 정성을 쏟았다. 문득 변한 며느리의 태도에 감동해 그 시어머니가 시누이를 이끌고 입교했다. 한 집안이, 온 마을이 천주교 신자로 변하는 것은 잠깐이었다. 그러고 나면 모든 관계가 한 순간에 변했다.

그들은 뜻도 잘 모른 채 한문으로 된 경문을 또박또박 외웠다. 묵주 기도를 바치고 있으면 어떤 힘든 일 속에서도 기쁨이 차고 넘쳤다. 현실의 삶은 아무 달라진 것이 없었어도 그들은 거기에서 꿈을 보고 희망을 느꼈다. 고여 썩어 가던 물이 생명수로 변했다. 이런 종류의 커뮤니티는 이제껏 단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놀라운 것이었다.

남인 내분속 채제공 편들다 처남과 원수로...


26> 채당(蔡黨)과 홍당(洪黨)

노론 칼끝이 채제공을 겨누자 
따르던 남인들 앞다퉈 거리둬 
최측근인 조카 채홍리마저 배신 
다산 처가인 홍씨 집안과 손잡아 
親채ㆍ反채 따라 대채ㆍ소채 갈리고 
이후 채당ㆍ홍당으로 갈등 고착화 
정조는 반대에도 채제공을 우의정에 
80년 만에 남인 재상 탄생하자 
같은 남인이어도 소채ㆍ홍당은 사색 
채제공이 우의정으로 발탁될 즈음인 65세 당시 초상의 초본. 오른쪽 글씨엔 ‘영의정 문숙공’이란 표기가 
자랑스럽게 적혀 있지만, 80년만의 남인 재상이라 여러 정치적 사정이 어려웠기 때문일까. 정작 체제공 자신은 
너무 피곤해 보인다는 이유로 이 그림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다는 말이 전해온다.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권력 앞의 줄서기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고 간 노론 벽파에게 복수를 꿈꿨지만 이를 뒷받침 해 줄 대안 세력이 없었다. 남인에게 그 기대가 쏠렸다. 그 중에서도 채제공(1720~1799)은 영조가 정조에게 “나에게는 순신(純臣)이요 너에게는 충신(忠臣)”이란 평가를 남겼던 인물이다. 정조는 처음부터 노론 벽파를 견제하는 대안 세력의 수장으로 채제공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정조 즉위 초반 정국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던 홍국영이 1780년에 실각했다. 영의정 서명선이 눈치 빠르게 채제공을 홍국영의 두둔 세력으로 몰아 직격했다. 여기에 사도세자 추존 문제와 역모 세력의 배후설을 보태 채제공을 연신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 1780년 대사간 조시위(趙時偉)의 상소를 신호탄으로 채제공에 대한 집요한 공격이 시작되었다. 그를 죽여야만 끝날 기세였다.

노론 벽파의 칼끝이 연일 채제공을 겨누자, 그는 도성 밖에 나가 살며 숨을 죽였다. 채제공은 이제 끝났다는 소문이 쫙 퍼졌다. 목숨을 거둬가는 것이 시간 문제였다. 권력의 속성은 무섭다. 큰 권력이 흔들리면 새 줄서기가 시작된다. 잡고 있는 줄이 썩은 동아줄로 판명난 뒤면 너무 늦다. 문제는 썩은 동아줄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닐 때 일어난다. 뒷감당을 할 수 없는데다 배신자의 낙인까지 찍힌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숱한 정객들이 단 한번 판단의 결과로 아예 사라지거나 화려하게 부활했다.

채제공 중심으로 결속되었던 남인 세력에 동요와 균열이 왔다. 줄을 잘못 서면 자신들의 미래가 사라질 판이었다. 등골에 진땀이 흘렀다. 눈치 보기가 시작되었다. 채제공에게 긴요한 일로 편지를 쓰면서도 뒤탈이 무서워 편지 끝에 자기 이름을 적지 않았다. 채제공은 그런 편지를 받을 때마다 “어찌 그리 겁들을 내는가?” 하며 분노했다.

의도적 도발 

남인 이재기(李在璣ㆍ1759~1818)가 쓴 ‘눌암기략(訥菴記略)’은 이 같은 줄서기의 현장을 생생하게 중계한 책이다. ‘눌암기략’은 1783년에 일어난 한 사건으로 시작된다. 전라도 나주에 미강서원(眉江書院)이 있었다. 지금의 미천서원(眉泉書院)이다. 건물이 낡아 곧 허물어질 지경이었다. 그곳 유림들이 서원 원장을 여러 차례 지낸 채제공을 찾아와 재건축을 위한 경비 지원을 호소했다. 채제공은 당시 노론의 집중 포화에 목숨이 경각에 달린 상황이라 나설 처지가 못 되었다.

“강원도관찰사 채홍리(蔡弘履)를 찾아가 내 부탁이라 하고 청해 보게.”

채홍리는 채제공의 집안 조카였으나 의리로 치면 부자간이나 같았다. 유생들이 채제공의 편지를 받아들고 한걸음에 원주로 달려갔다. 웬 걸 이들은 감영 안으로 한 발짝도 넣지 못했다. 채제공의 편지를 가져왔다는데도 답이 없었다. 이들은 원주의 여관방에서 여러 달을 하염없이 관찰사의 하회만 기다리다 아무 성과 없이 나주로 돌아갔다.

소문이 금세 퍼지자 남인 내부가 동요했다.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의도적 도발이다.”

실제로 그랬다. 조카 채홍리는 집안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아버지와 다름없는 채제공을 먼저 도발했다. 다시 안 볼 작정이 아니고는 이럴 수가 없었다.

음덕을 쌓으시지요 

이 일이 있기 세 해 전인 1780년의 일이다. 처음 노론의 공격이 시작되자 채제공은 도성을 떠나면서 채홍리에게 남아 동정을 살피라고 했다. 하루는 채제공이 채홍리에게 연통을 넣어 동대문 밖 촌가에서 만나자고 했다. 허름한 차림으로 채제공이 도착했다.

“사람들이 일제히 나를 죽이려 드니, 내가 죽게 될 모양이다. 네가 정민시(鄭民始ㆍ1745~1800)를 찾아가 나를 위해 말을 해다오.”

말투가 비장했다. 이튿날 아침 일찍 채홍리가 정민시를 찾아 갔다. 아이를 안고 있었다.

“이 아이가 누구요?”

“내 늦둥이라오.”

채홍리가 한숨을 쉬며 말했다.

“그대나 나나 이미 늙었소. 그대는 이 아들이라도 있지만 나는 그마저도 없소. 이 아이를 위해 음덕이나 쌓아 두시구려.”

“무슨 말씀이시오?”

“내 아저씨가 죄 없이 죽게 생겼소. 그저 보기만 할 참이오?”

정민시가 안색을 바꿨다.

“여론이 지금 저 지경이니, 난들 어떡하겠소?”

“그대가 건져주지 않으면 내 아저씨는 죽을 것이요. 보답을 바라지 못할 곳에 은혜를 심어두는 것이 음덕이 아니겠소? 이 아이를 위해 복을 쌓는 셈치고 부디 애써 주시오.”

며칠 뒤 재상들의 연명 상소가 나왔을 때, 정민시만 자신의 이름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채홍리는 채제공에 대한 공격이 날로 가팔라지는 것을 보고, 이후 채제공을 떠나 오히려 노론 쪽으로 붙었다. 이 와중에 미강서원 사건이 터졌다.

대채(大蔡)와 소채(小蔡), 두 과부의 싸움 

먼저 청파(靑坡)의 도곡(桃谷) 즉 복사골 남인들이 채홍리와의 절교를 선언하는 통문을 돌렸다. 반응은 뜻밖에 시원치 않았다. 남인의 원로 목만중(睦萬中ㆍ1727~1810)은 채제공과 각별한 사이였는데도, 통문을 돌린 복사골 남인들을 격하게 나무라며 통문을 갈기갈기 찢었다. 이 일 이후 남인은 여전히 채제공을 따르는 ‘대채(大蔡)’와 채홍리를 편드는 ‘소채(小蔡)’로 갈렸다. 대채를 공개적으로 표방한 이는 다섯 손가락을 꼽기도 어려웠다.

다산은 ‘정헌묘지명(貞軒墓誌銘)’에서 “당시 채제공이 노론에게 쫓겨나 도성 밖에 살았다. 채홍리와 목만중 등이 모두 채제공을 배반하였고, 지조가 굳세지 못한 자들은 쥐새끼 모양으로 양쪽을 오가는 자가 많았다”고 썼다. 힘의 균형이 무너지자, 다투어 줄을 바꿔 섰다.

이재기가 ‘눌암기략’에서 다시 말했다. “우리 남인들이 100년간 연좌되어 벼슬에서 쫓겨나, 실로 형세나 이익을 다툴만한 것이 하나도 없다. 하루 아침에 한 방에서 창을 잡는 변고가 있게 되니, 아! 또한 몹시 불행한 일이다.” 서인도 노론과 소론으로 나뉘어 싸우지 않느냐고 누가 말하자 그가 대답했다. “서인이 죽도록 싸우는 것은 나아가고 물러나는 즈음에 이익과 손해가 생기기 때문이다. 우리 남인의 경우는 두 과부가 싸우는 것이나 다를 바 없으니 어찌 우습지 않은가?”

채당(蔡黨)과 홍당(洪黨)의 전쟁 

정작 당사자인 채제공은 재앙의 기색이 하늘을 덮었는데도 위축된 기미가 없었다. 기상이 대단했다. 평소의 수양 없이는 안 될 일이었다. 그는 문제 앞에서 구차스럽지 않았다. 곧장 직진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남인들마저 채제공에게 등을 돌린 형국이었다. 오직 광암 이벽의 동생 이석(李晳ㆍ1759~1819)이 장용영(壯勇營) 무관으로 있으면서 자주 채제공을 찾아가서 임금이 그를 그리워한다는 밀지를 전하곤 했다. 의연함의 바탕에 믿는 구석도 있었던 셈이다.

채홍리는 같은 남인인 홍수보(洪秀輔) 홍인호(洪仁浩) 부자와 손을 잡고 반채(反蔡) 연대를 확대시켰다. 대채와 소채의 분열이 이후 채당(蔡黨)과 홍당(洪黨)의 대립구도로 고착되었다. 남인들 내부의 갈등은 골이 이미 깊이 팼다.

눌암기략의 첫 페이지. 남인 내부의 알력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다.

다산은 이 소란의 정중앙에 애매하게 끼어 있었다. 다산의 아버지 정재원은 채제공에게 의리를 지킨 몇 안 되는 사람 중 하나였다. 다산이 남긴 ‘선부군유사(先府君遺事)’에 그 내용이 보인다. 홍수보는 족보상으로는 아내 홍씨의 오촌 당숙이었고, 홍인호는 6촌 처남이었다. 하지만 홍수보와 장인 홍화보는 사실 친형제간이었다. 후에 홍수보가 다른 집안에 양자로 들어가는 바람에 촌수가 벌어진 것일 뿐이다. 다산의 혼인 당일 꼬마 신랑이라고 놀렸다가 경박한 소년이란 대구로 혼쭐이 났던 홍인호는 실제로는 아내 홍씨의 사촌오빠였다. 그는 당시 임금의 최측근인 승지로 있으면서 수험생 시절의 다산에게 임금의 각별한 관심을 전해주던 메신저이기도 했다.

다산은 채당이었다. 둘이 갈렸을 때 다산은 처삼촌과 사촌처남의 편에 서지 않았다. 이 어정쩡한 위치가 두고두고 다산에게 뒤탈이 되었다. 부부의 금슬도 이로 인해 적지 않게 금이 갔던 듯하다. 결혼식 날 한방씩 주고받았던 장난꾸러기 처남매부 사이는 점차 틈이 벌어져 나중에는 원수처럼 변했다.

80년 만의 남인 재상 

궂은 세월이 그렇게 지나갔다. 백척간두에 서서 목숨이 경각에 달리기도 했다. 1786년 12월, 정조는 채제공을 다시 서용하라는 명을 내렸다. 1788년 2월에는 재상들의 빗발치는 반대를 무릅쓰고 채제공을 우의정에 앉혔다. 80년 만에 남인이 재상의 반열에 오르게 된 것이다. 조정의 반발이 예상 밖으로 거셌다. 정조는 그들이 내세우는 채제공의 죄안을 하나하나 직접 해명하면서, 앞으로 한번 만 더 이 문제로 채제공에 대해 시비한다면 무옥(誣獄)으로 처리하겠노라고 으름장을 놓아 논란을 단번에 잠재웠다.

소론의 서명선이 영의정에 앉고, 노론의 김종수가 좌의정을, 남인의 채제공이 우의정을 맡아 이 삼두마차로 확실한 상호견제의 황금구도를 세웠다. 하루아침에 세상이 바뀐 것이다. 채제공이 완전히 끝난 줄 알고 그를 타격하는데 힘을 보탰던 남인의 소채와 홍당들은 모두 사색이 되었다.

정민 한양대 국문과 교수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농협 356-0719-4623-83안정주
※ 통합경전계좌 : 국민은행 901-6767-9263노영균sjm5505@hanmail.net
※ 투자금 계좌: 하나은행 654-910335-99107 안정주

게리 19-04-07 12:01
 
백성은 당장 굶어죽을 판인데도
조정은 수십년 간 이념 논쟁만;;;.
게리 19-04-07 12:02
 
그들이 꿈꾼 도화낙원은 어딘가 분명히 있겠지만 결코 가 닿을 수 없는
무릉도원 같은 곳이었다;;;.
게리 19-04-07 12:03
 
親채ㆍ反채 따라 대채ㆍ소채 갈리고
이후 채당ㆍ홍당으로 갈등 고착화;;;
겨울 19-04-07 20:51
 
천주학은 남인 집단 내부에서 발생하고 성장했다.
겨울 19-04-07 20:53
 
그의 제자와 후학들은 경학 공부에 더해 토지제도를 연구하고, 행정 제도를 쇄신하여 국가를
혁신하자고 목청을 높였다. 하지만 그들의 목소리는 95%를 차지한 상위 5%의 귀에는 가 닿지도 않았다.
겨울 19-04-07 20:55
 
민중에게는 당장 입에 들어갈 먹거리가 문제였다. 제 힘으로 어쩔 수 없자 바다 밖에서 배를 타고 진인(眞人)이
나타나 새로운 세상을 활짝 열어 주리라는 정감록(鄭鑑錄) 신앙이 민간에 횡행했다. 이전부터 익숙한
미륵하생(彌勒下生) 신화의 변주였다.
산백초 19-04-08 07:32
 
백성은 당장 굶어죽을 판인데도
조정은 수십년 간 이념 논쟁만
산백초 19-04-08 07:35
 
다른 한편에서는 서학의 적극적 도입을 외쳤다. 연행(燕行) 길에 직접 목격한 중국의 변화는 눈부셨다.
북경의 쇼핑가였던 유리창(琉璃廠) 거리에는 자명종뿐 아니라 오르골(뮤직 박스)까지 팔고 있었다.
산백초 19-04-08 07:38
 
궂은 세월이 그렇게 지나갔다. 백척간두에 서서 목숨이 경각에 달리기도 했다.
1786년 12월, 정조는 채제공을 다시 서용하라는 명을 내렸다.
늘배움 19-04-08 11:09
 
이들은 귀국 후 국시였던 북벌(北伐)을 버리고 북학(北學)을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상대적으로
사행(使行) 참여의 기회가 많았던 노론 자제들의 입에서 이 목소리가 먼저 터져 나왔다.
늘배움 19-04-08 11:14
 
상주의 식장산(食藏山)과 속리산의 우복동(牛腹洞), 지리산의 청학동(靑鶴洞)과 강릉의 이화동(梨花洞) 같은
별세계의 소문이 꼬리를 물었다. 그곳으로 가는 경로와 위치를 표시한 지도가 민간에 떠돌아다녔다.
늘배움 19-04-08 11:17
 
남인 이재기(李在璣ㆍ1759~1818)가 쓴 ‘눌암기략(訥菴記略)’은 이 같은 줄서기의 현장을 생생하게 중계한 책이다.
수양버들 19-04-08 17:17
 
천주교 교리 민간에 빠르게 퍼져  신분ㆍ남녀 차별의 벽 허물기 시작  온마을ㆍ온집안이 순식간에 신자로.
수양버들 19-04-08 17:18
 
천주학은 남인 집단 내부에서 발생하고 성장했다. 노론에서 나왔다면 그저 넘어갔을 일이, 견제와 배제의 대상인 남인 집단에서 터져 나오고, 여기에 진영 내부의 복잡한 사정이 겹치면서 천주교 문제는 차츰 뜨거운 감자로 변했다.
수양버들 19-04-08 17:19
 
남인 한 사람을 조정에 올리자면 수많은 견제와 방해가 뒤따랐다. 한 사람의 이름이 오를 때마다 경계의 눈초리가 살벌했다. 작은 흠만 나오면 벌떼처럼 달려들어 내쳤다.
수양버들 19-04-08 17:21
 
밖에서 배를 타고 진인(眞人)이 나타나 새로운 세상을 활짝 열어 주리라는 정감록(鄭鑑錄) 신앙이 민간에 횡행했다. 이전부터 익숙한 미륵하생(彌勒下生) 신화의 변주였다.
수양버들 19-04-08 17:22
 
절망에 빠진 민중에게 의식주의 문제가 해결되는 유토피아의 환상을 심었다. 머잖아 새 세상이 열린다. 그 꿈을 행동으로 옮기면 역모가 되었다.
수양버들 19-04-08 17:24
 
천주교는 양반과 상놈의 구분, 남자와 여자의 차별을 먼저 허물었다. 갑과 을의 상하 관계가 어느 순간 수평적 관계로 변했다. 그들은 초대 교회의 교인들처럼 자기 것을 아낌없이 덜어 조건 없이 나눴다. 기도를 하면 이유 모를 눈물이 흘렀고, 비참하던 인생에 무지개의 희망이 걸렸다.
수양버들 19-04-08 17:24
 
신부는 그녀들에게 작은 죄는 보속(補贖) 대신 불쌍한 이들에게 재물을 희사하게 했다. 큰 죄는 신부에게 종아리를 맞았다. 그녀들이 고백한 죄는 어떤 내용이었을까? 슬며시 궁금해진다. 모두 달레의 ‘조선천주교회사’에 나오는 이야기다. 남녀의 구별이 유난스럽던 당시 조선 사회의 시선에서 보면 해괴하기 짝이 없는 변고였다.
수양버들 19-04-08 17:25
 
시어머니의 학대가 더 이상 고통스럽지 않았다. 오히려 연민의 정으로 더욱 정성을 쏟았다. 문득 변한 며느리의 태도에 감동해 그 시어머니가 시누이를 이끌고 입교했다. 한 집안이, 온 마을이 천주교 신자로 변하는 것은 잠깐이었다. 그러고 나면 모든 관계가 한 순간에 변했다.
수양버들 19-04-08 17:26
 
양반가의 아낙네들이 외간 남성인 가성직 신부들에게 자신이 지은 죄를 고해할 수 있게 해달라고 애원을 했다. 난감해진 신부들은 어떻게든 이 고역에서 벗어나 보려고 했지만 그녀들의 성화를 당해낼 방법이 없었다.
수양버들 19-04-08 17:27
 
권력의 속성은 무섭다. 큰 권력이 흔들리면 새 줄서기가 시작된다. 잡고 있는 줄이 썩은 동아줄로 판명난 뒤면 너무 늦다. 문제는 썩은 동아줄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닐 때 일어난다. 뒷감당을 할 수 없는데다 배신자의 낙인까지 찍힌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숱한 정객들이 단 한번 판단의 결과로 아예 사라지거나 화려하게 부활했다.
수양버들 19-04-08 17:28
 
줄을 잘못 서면 자신들의 미래가 사라질 판이었다. 등골에 진땀이 흘렀다. 눈치 보기가 시작되었다. 채제공에게 긴요한 일로 편지를 쓰면서도 뒤탈이 무서워 편지 끝에 자기 이름을 적지 않았다. 채제공은 그런 편지를 받을 때마다 “어찌 그리 겁들을 내는가?” 하며 분노했다.
수양버들 19-04-08 17:29
 
“서인이 죽도록 싸우는 것은 나아가고 물러나는 즈음에 이익과 손해가 생기기 때문이다. 우리 남인의 경우는 두 과부가 싸우는 것이나 다를 바 없으니 어찌 우습지 않은가?”
수양버들 19-04-08 17:31
 
하루아침에 세상이 바뀐 것이다. 채제공이 완전히 끝난 줄 알고 그를 타격하는데 힘을 보탰던 남인의 소채와 홍당들은 모두 사색이 되었다
현포 19-04-13 00:24
 
숙종 이후 조선은 노론의 나라였다. 노론은 세자를 죽음으로 내몰고, 임금도 바꿀 수 있는 절대 권력이었다.
현포 19-04-13 00:26
 
천주교는 양반과 상놈의 구분, 남자와 여자의 차별을 먼저 허물었다. 갑과 을의 상하 관계가
어느 순간 수평적 관계로 변했다. 그들은 초대 교회의 교인들처럼 자기 것을 아낌없이 덜어 조건 없이 나눴다.
사오리 19-04-25 02:03
 
손정의는 젊은이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승리에 도취되지 않고, 패배에 좌절하
지 않고 다만 묵묵히 단련하고  계속 도
전해 나가는 것, 골Goal 은 아직 저 멀
리에 있다.
 
 

Total 9,90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9608 고창영 시집 《등을 밀어 준 사람》에 실린 시〈그런 사람〉전문 * 그런 사람 있다 (16) 사오리 05-13
9607 이불 속에서 웃노라 (15) 루나 05-11
9606 현포님의 글을 읽고 씁니다. (20) FirstStep 05-10
9605 <천주집> “죽든 살든” 출사 결심.다산, 은거하던 이승훈 찾아가 “숨지 말고 나갑시다” (21) 게리 05-08
9604 춘치자명과 진정한 상제님 진리를 만들어 가는 광야의 초인들! 2 (31) 현포 05-04
9603 춘치자명과 진정한 상제님 진리를 만들어 가는 광야의 초인들! 1 (32) 현포 05-04
9602 즐거운 주말입니다. 7080 추억을 느끼면서 오늘은 티나터너와 함께 (12) 구름나그네 05-04
9601 무한한 과학의 궁극적 표상은 자유로움의 증명 (25) 블루베리농장 05-02
9600 국가의 부당함에 항거하는 시민에게 발포 명령내릴때 대처법은!!! (18) 공시생기출문제 05-02
9599 전작권 전환시 항공작전도 전환해야!!!! (17) 현포 05-01
9598 통계 오류에 대한 소고 (25) FirstStep 04-28
9597 SORAYA "PARA TI" (10) 슐러거매니아 04-28
9596 최성현의《힘들 때 펴보라던 편지》 * 궁지에 몰렸을 때 (26) 사오리 04-25
9595 소릿길을 받쳐준 '고수' 한평생, 김득수 명인 (23) 흰두루미 04-23
9594 말이 씨앗이 된다더니, 과거의 내가 했던 응원 (19) 블루베리농장 04-23
9593 손득지에게 다시 보내노라 (17) 루나 04-18
9592 천륜 끊는 고소대마왕 새끼가 여러 사람 잡는구나 (20) 혁명가 04-15
9591 일명 기절약- 데이트 강간약물에 관해 알아볼까요 (19) 대포 04-14
9590 군 사병들의 하극상에 관한 소견!!! [토크멘터리 전쟁史] 87회 4차중동전-욤키푸르 전쟁 (22) 현포 04-12
9589 K-Pop World Festival Global Audition 2015 Morocco (11) 슐러거매니아 04-12
9588 산사서 부치는 선지식의 편지-15.사명당이 日 겐끼츠 스님에게.16. 조선포로 일요 스님이 아버지에게 (23) 호반도시 04-10
9587 가야금 12줄에 꽃핀 여성 파워, 박귀희 명창 (21) 흰두루미 04-08
9586 <천주집>“이게 나라냐?” 절망에 빠진 백성들. 남인 내분속 채제공 편들다 처남과 원수로 (28) 게리 04-07
9585 The School of Life의《끌림》중에서 * 착한 사람, 선량한 사람 (23) 사오리 04-04
9584 가려움증을 다스리고서 (20) 루나 04-03
9583 대문자 F로 시작하는 물리학자 - <엔리코 페르미 평전> 3 (26) 블루베리농장 04-02
9582 세계 최초의 연쇄반응 - <엔리코 페르미 평전> 2 (20) 블루베리농장 04-02
9581 원자 시대가 시작된 날 - <엔리코 페르미 평전> 1 (19) 블루베리농장 04-01
9580 안전 확인 - 1년 국방비 천조를 쓰는 천조국 (15) 고기먹는땡중 04-01
9579 21세기의 수로부인에게 바치는 '헌화가' (18) 흰두루미 03-30
9578 <천주집>‘제사’ 글제 나오자 백지 답안지 낸 다산.홍낙안의 서학모임 처벌 요구에도... 정조 다산 답안을 2등 올려 (21) 게리 03-27
9577 [2016 K-POP World Festival] Global Audition - 이탈리아(Italy) 편 (11) 슐러거매니아 03-26
9576 조윤제의《천년의 내공》 * 새벽 공부 (23) 사오리 03-25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