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 담론방 > 자유게시판


 
작성일 : 16-09-27 15:33
천주교 성지 - 56. 대전교구 신평성당 /57. 수원교구 양근
 글쓴이 : 게리
 

천주교 성지

56. 대전교구 신평성당 

충남 당진군 합덕읍에서 예산 쪽으로 32번 국도를 따라 2㎞ 정도 내려오면 합덕교가 나온다. 다리를 건너기 바로전에서 우회전하여 수로를 따라 4.5㎞쯤 들어가면 고덕면을 알리는 푯말이 서 있다. 길 우측으로 신리 공소가 있다.

현 당진군 신평면 한정리 지역인 원머리, 새터, 용성이라는 곳에 병인박해시 이미 교우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원머리에는 적어도 1850년대에 교우촌을 이루고 있었다.

이곳은 염전과 논농사를 주로하며 살던 곳으로 박씨, 조씨 등이 박해 때 복음을 전파함으로서 교우촌이 형성되었다. 조씨등이 박해 때 복음을 전파함으로써 교우촌이 형성되었다. 순교자 박 마르코는 본래 원머리 사람으로 열심한 모친으로부터 신앙을 받아들였다. 그의 아우 박 요셉은 1920년대에 형의 순교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마르코는 모친의 뜻을 좇아 진실히 수계하면서 모친과 함께 동네 교우와 연락하고 지냈다. 신부 오시어 성사를 받으려하면 부친이 금하는 고로 이를 꺼리더니 무진년(1868년)에 수원 포교에게 체포되기에 이르렀다. 본래 그의 집은 세간이 있고 본읍에 권도가 조금 있었다.

수원으로 잡혀갈 때 그는 부모게 하직하며 위로하되 '거사가서 죽으면 육정의 박절함이 없을까만은 주 명대로 위주하여 죽는 것이 구령에 편한 일이라. 부디 염려 마시고 훗날을 조심하십시오'라고 한 다음 그 사촌 마티아와 함께 수원 옥에 갇혔다. 수원에서 고문을 다할 때 마티아가 이를 못이겨 배교하려 하자 마르코는 '대주를 배반하고 영벌을 받으려 하느냐?'고 깨우치도록 하였으니, 이에 마티아는 배교함을 뉘우치고 성교함을 바로 설명하였다 .옥에 갇힌 지 15일 후 포교들은 그 들을 교(絞)하여 죽였는데,죽은 후 시체를 찾아 본 곳(원머리)에 장사하니 시체 정결함이 산 이와 같았다. 이때 마르코의나이는 33세 였고 그의 사촌 마티아의 나이는 50세 였다." 1989년 4월 4일 신평 성당 구내로 옮겨 모셨다. 


57. 수원교구 양근 

 구리, 덕소를 지나 양평읍 양근대교 직전 좌측에 월드컵 주유소가 보이고 막 지나치면서 우축에 양근
    성지 푯말이 보인다. 이곳에서 우회전하여 약 100m 진입하면 우측에 개발중인 양근 성지가 보인다.

신앙 선조들의 순교 기록에 보이는 '양근'이라는 지명은 대체로, 초기 한국 천주교회 지도자 권철신(權哲身,암브로시오,1736~1801), 권일신(權日身,프란치스코 사베리오, 1742~1792) 형제의 고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현재는 양평군이다. 권일신의 친아들로 권철신의 양자가 되었었고, 순교한 권상문(權相問,세바스티아노,1769~1802)의 고향이기도 하다. 

우리측 기록에 보면 권상문이 '양근 한강포'출신으로 되어 있기도 하고, 서양 기록에는 권씨들이 '한감개(Han-Kam-Kai)'에 살았다고 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한강개 즉 현재의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대석리에 태어나 살았던 것이다. 이 곳에 전국각지의 많은 젊은이들이 그 문하에 모여들 정도로 권철신이 당대 최고의 학자 중의 하나였으므로, 권철신, 권일신 형제의 영향으로 많은 천주교 신자가 배출되었다. (뒤에서 언급할) 충청도 내포의 이존창, 전라도 완주의 유항검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아울러 이 곳은 1801년 신유(辛酉) 박해 때 윤유일(尹有一, 바오로, 1760~1795), 윤유오(尹有五, 야고보,?~1801)와 그들의 사촌 누이 윤점혜(尹點惠, 아가타, ?~1801), 윤운혜(尹雲惠, 마르타, ?~1801) 자매 등이 순교한 곳이기도 하다. 이들은 모두 애초에는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금사2리 점들에서 태어났는데, 그리 멀지 않은 양근 한강개로 이사하였다. 그러므로 이들은 권철신의 이웃에 살게 되었던 것이다.

이웃인 권철신의 문하에 들어간 윤유일은 학문을 연구하면서 자연스럽게 스승을 따라 천주교에 입교하기에 이른다. 영세 후 그는 조선 신자 대표로 북경(北京)을 방문하여 1790년 북당(北堂) 성당에 서 세례를 받았고, 이어서 그는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견진성사를 받았다. 이후 선교사를 맞아들이는 일에 매진하다가 5년 만인 1795년 드디어 주문모(周文謨) 신부를 맞아들이는 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후 주문모 신부를 보호하려 하다가 그해에 순교를 당하게 된다.

윤유일의 순교 이후에도 신앙 생활을 굳건히 하던 윤유오와 사촌동생 윤점혜, 윤운혜도 결국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다. 특히 언니 윤점혜는 최초 의 여회장인 강완숙(姜完淑, 골롬바, 1760~1801)을 도와 여성 신자들의 교육에 힘썼었을 뿐만 아니라 동정녀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그리고 윤운혜는 정광수(鄭光受, 바르나바, ?~1801)와 혼인하여 교리서와 성물을 보급하는 데에 앞장섰던 최초의 양반 부부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1785년 봄에 일어난 명례방 사건으로 신앙 공동체가 와해되고, 교회 지도층에서 다시 재건을 꾀하기 시작한 것은 1786년부터였다. 이때 그들은 가성직 제도(假聖職制度)를 수립하였고, 이승훈을 비롯하여 다른 10명의 신자들은 신부로 임명되어 성사를 집전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788년 무렵에 류항검(柳恒儉, 아우구스티노)이 그 오류를 지적하여 성사 집전이 중단되고, 이어 북경에서 성직자를 영입해 와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면서 고난의 '성직자 영입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때 한국 천주교회의 밀사로 선발된 사람이 바로 윤유일(尹有一, 바오로)이었다.

'인박'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던 윤유일(尹有一) 바오로는 1760년 경기도 여주의 점들(현 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금사리)에서 태어나 이웃에 있는 양 근(楊根)의 '한강개'(漢江浦, 지금의 양평군 강상면 대석리)로 이주하여 살았다. 이곳은 바로 그의 스승이자 이벽과 정약용, 홍낙민(洪樂敏, 루가), 류항검, 이존창(李存昌, 루도비코 곤자가)의 스승이기 도 하였던 녹암(鹿庵) 권철신(權哲身, 암브로시오)과 그의 아우 권일신(프란치스코 사베리오)의 고향이다. 뿐만 아니라 이들 녹암계(鹿庵系) 인물들이 모여 천주교 교리를 연구하고 토론하던 마을이었으 니, 1784년에 이벽이 이승훈에게 받은 천주교 서적들을 가지고 찾아간 곳이 바로 여기였다. 이에 앞서 녹암계 인물들이 권철신, 이벽과 함께 강학(講學)을 하던 곳은 한강개 뒤편에 위치한 앵자봉 자락의 주어사(走魚寺)와 천진암(天眞庵)이었다.
양근 권씨 집안의 제자였던 이존창과 류항검은 이후 자신들의 고향인 '여사울'(餘村, 현 충남 예산군 신종면 신암리)과 '초남'(草南, 현 전북 완주군 이서면 남계리)을 중심으로 각각 복음을 전파하였다. 그 결과 이존창은 내포(內浦)의 사도로, 류항검은 전라도의 사도로 일컬어지게 되었다. 한강개 마을에서 비롯된 천주교 신앙이 수표교와 명례방에 이어 여사울과 초남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양근은 주문모 신부님을 모셔오기 위하여 두 차례나 북경에 밀사로 다녀온 윤유일(바오로)과 그 동생 윤유오(야고보)와 4촌 여동생 윤점혜(아가다), 윤운혜(마르타)와 유한숙, 권상문(세바스티아노), 김 일호, 이 아가다, 그리고 조숙, 권 데레사 동정 부부 등이 태어나거나 살다가 체포되어 신앙을 증거하고 순교한 곳이다. 그 중 윤유일, 윤유오, 윤점혜, 윤운혜, 권상문 등은 현재 시복 추진중인 분들이다. 

윤유일은 한국 천주교회의 첫 밀사였다. 이후 윤유일은 1789년과 1790년 두 차례에 걸쳐 북경을 다녀왔으며, 1789년에는 라자로회 의 북당 선교 단장인 로(Raux, 羅黃祥) 신부에게 조건 세례를 받고, 남당(南堂)에 있던 북경 교구장 구베아(Gouvea, 湯士選) 주교를 만나 성직자 파견을 요청하였다. 이어 1790년에는 다시 구베아 주교를 만나 성직자 파견을 약속받고 귀국하였다. 
또한 성녀 조증이(발바라)는 양근 조동성 집안 출신으로 남이관 성인의 아내, 유방제 신부의 복사로 치도곤 합 150도를 맞고 옥에 갇힌지 6개월 후 11월 14일 순교하였다.

윤점혜 아가다는 윤유일의 4촌 여동생으로 천주교를 신앙하기 위해 처녀의 몸으로 밤에 몰래 서울로 도망쳐와 강완숙의 집에 머물며 동정녀 소공동체를 만들고 동정녀들을 지도하였고, 고향 양근으로 이송되어 참수할 때 목에서 흰피가 나왔다고 한다.
그 동생 윤운혜 마르타는 순교자 정광수와 결혼한뒤 서울로 이사하여 자기 집에 공소를 마련하고 주 문모 신부님을 모셔다가 미사를 드리며 성물을 만들어 신자들에게 보급하다가 1801년 체포되어 순교하였다.
권상문 세바스티아노는 권철신의 양아들(권일신의 아들)로 처음 양근 옥에 갇혀 있다가 서울로 압송 되어 모진 형벌을 받으며 배교를 강요 당하였으나 끝까지 배교하지 않음으로 양근으로 이송되어 1801년 12월 27일 23세로 순교하였다.
조숙, 권 데레사 동정 부부는 1801년에 순교한 이순이 루갈다와 유중철 요한 동정 부부(전주 중바위 성지 참조)와 쌍벽을 이루는 분들이다. 이 동정 부부는 모두 양근 출신으로 조숙은 조동성 유스티아노의 친척이고, 권 데레사는 권일신의 딸이다. 이들 두 동정 부부는 1819년 5월 21일 참수로 순교하 였다. 권 데레사의 머리를 찾아다가 성녀 조증이 발바라의 집 대바구니에 담아 두었는데, 그 바구니를 열면 향기가 진동하였다고 달레는 전하고 있다.

이처럼 양근 성지는 순교 성인의 탄생지이고, 순교자들의 피로 신앙이 뿌려진 곳이고, 윤점혜 아가다를 통하여 한국 교회의 수도 공동체의 모습을 찾아 벌 수 있고, 조숙, 권 데레사 동정 부부를 통하여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의 모습을 본 받을 수 있는 곳이다.

2004년 6월 이 곳을 방문하였을 때는 권철신의 방계 후손인 권일수(요셉) 신부가 성지 개발을 전담하 고 있었다. 권철신의 생가터인 대감마을과 주어사를 포함한 한국 천주교회의 요람지이면서 순교지인 이곳을 종합 개발하려는 전담신부의 외로운 노력에 많은 교우들의 동참이 절실하게 보였다.

철거 위기 구산성당 '원형이동보존' 극적 결론

"수원교구장 권고로 원형이동 실행위 구성" 공지

택지개발과 성당 측의 결정으로 철거 해체 위기에 몰렸던 하남 구산성당이 원형 그대로 이전해 보존하는 쪽으로 다시 결론이 났다.

천주교 수원교구 구산본당 김봉기 마태오 주임신부는 25일 밤늦게 성당 홈페이지에 올린 공지를 통해 "수원교구장 이용훈(마티아) 주교님의 권고와 지시를 받들어 옛 성당 원형이동을 바라는 신자를 중심으로 '원형이동 실행위원회'를 구성할 것"이라며 "실행위가 결성되면 필요한 권한을 부여하고 자금 4억원을 준비해 공사비를 지급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옛 구산성당 모습
옛 구산성당 모습

앞서 성당 측은 지난 19일 재정과 기술적 이유로 원형이동복원 포기 및 신축복원 방침을 결정하고 지난 24일 성당 종탑 이전을 위한 철거작업을 일부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지붕과 외벽 일부가 뜯긴 사실이 알려져 신자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원형이동 복원을 맡았던 문화재 복원 업체가 경찰에 신고하는 소동이 있었다.

지난 24일 종탑이 철거된 구산성당
지난 24일 종탑이 철거된 구산성당

그러나 25일 미사를 집전하러 구산성당을 찾은 이용훈 주교가 원형이동 보존을 주장하는 신자들과 만나고 현장을 둘러본 뒤 상황이 달라졌다.

이 주교는 구산본당 공동체의 일치와 화합을 강조하면서 "소수라 할지라도 옛 구산성당을 원형 이동해 계속 보존하는 것을 소망하는 신자들이 있다면, 본당 신자들의 일치를 위해 소망이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말했고, 김 주임신부가 이런 뜻을 받아 원형이동 추진을 재공지하면서 극적 반전을 이룬 것으로 전했다.

이에 따라 구산성당은 지금 위치에서 150m 정도 떨어진 이전 부지에 성당 바닥을 제외한 상태로 벽체와 지붕 종탑을 옮긴 뒤 시멘트벽돌 조적(組積) 벽면을 보강하게 된다.

이후 진행할 내부 마감 공사는 원형이동 과정에서 모이는 성금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실행위가 구성되면, 협의보상이 끝나 건물 소유권을 가진 LH와 다시 협의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애초 LH는 성당과의 보상협의 계약에 따라 이달 말까지 이전하면 옛 성당 터를 자족 용지로 공급(매각)할 예정이었다.

LH 관계자는 "성당 내부 이견으로 이전이 늦어지면서 미사지구 내 사실상 마지막 지장물이 됐다"며 "이전 지연에 따른 손실 부분에 대해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1836년 공소(公所)로 시작해 박해를 견디며 1979년 본당으로 승격해 올해로 공소 설립 180년, 공소 건축 60년이 된 구산성당은 미사지구(미사강변도시) 택지개발로 위기를 맞았다.

구산성지(2001년 향토유적 지정)는 보존 결정이 난 반면, 구산성당은 존치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신자를 중심으로 1956년 건축 당시 원형을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지난 7월 150여m 떨어진 새 부지로 원형이전 보존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이들 신자와 안창모 경기대 대학원 건축설계학과 교수 등은 "김성우 성인 생가터에 구산마을 신자들이 한강의 모래와 자갈을 나르며 시멘트를 비벼서 만든 신앙공동체의 상징적 종교시설이자 역사적으로 보존할만한 가치가 충분한 근대유산"이라고 원형보존을 주장해왔다.

이후 원형이동 작업이 추진되던 지난 19일 김 주임신부가 재정 및 기술적 문제를 들어 원형이동 포기와 신축복원을 결정해 전격 공지하면서 철거될 상황에 몰린 바 있다.

옛 구산성당 모습
옛 구산성당 모습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회 대전교구이사회 제1회‘길 있는 길’걷기 행사
병약자 요양과 수술비, 생활비 비용 돕기 위한 후원금 모집 

행사참가비 사회 배려계층과 난치병 환자 위해 기부 

11월5일 오전 9시30분 유성구 TJB 방송국 앞 갑천변
 



“주위의 어렵고 힘든 분들께 작은 힘이나마 보태기 위해 후원금을 모집합니다. 제1회 ‘길 있는 길’걷기 행사에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회 천주교 대전교구 이사회 황규철 회장과 정기호 조직부장, 이경래 총무부장, 안동빈 홍보부장 등 이사회 간부 전원이 26일 오전 대덕구 가톨릭 사회복지관 별관 3층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회 사무실에 모여 이사회를 개최하고 본보와의 인터뷰를 통해‘제1회 길 있는 길’행사를 알렸다. 

황규철 회장은 “11월5일 토요일 오전 10시 TJB 대전방송국 앞 갑천변에서 7km~10km 구간을 정해 걷기 대회를 진행한다”며 “제1회인 이번 행사는 대전충남지역 빈첸시오 회원과 정신적, 육체적, 물질적 도움의 대상이 되는 빈첸시오 가족간에 아름다운 갑천 길을 걸으면서 이런저런 대화를 하며 서로간의 거리감을 해소한다는 목적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행사 참여 회원들 각자의 후원금과 함께 참여 회원의 후원자들이 km당 1000원의 후원금을 기부해 우리 주위의 어렵고 힘든 분들께 작은 힘이나마 보태려고 하는 후원금 모집 성격이 동반된 행사”라고 밝혔다. 

정기호 조직부장은 “이번 행사의 1부 ‘아름다운 동행’은 누구의 도움이 없으면 바깥세상을 볼 수 없는 그 분들과 함께 걸으며 대화를 통해 소통의 길을 넓히고, 2부 ‘함께하는 세상’에서는 공연과 장기자랑을 통해 그동안 문화생활을 못하던 분들께 함께하는 문화를 체험하게 하고, 함께하는 사랑하는 내 이웃이 있음을 깨닫게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경래 총무부장은 “최인호 작가의 ‘길 없는 길’에서 벤치마킹한 제목인 ‘길 있는 길’은 구도자들이 수행하면서 도를 닦는 의미처럼 정신적, 물질적으로 어려운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기획한 걷기 행사”라고 소개했다.이어“이번 행사의 취지에 공감하는 분들이 많으면 대전충남세종을 넘어 전국으로 확대 교류시키려 한다”며 “소중한 뜻과 목적으로 열리는 이번 나눔 잔치에 함께해주시면 고맙겠다”고 말했다. 

안동빈 홍보부장은 “이번 행사가 원만하게 이뤄져 차츰 그 규모나 범위를 확대해 더 많은 분들에게 희망을 나눠드릴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소외된 이들의 고통을 머리로는 이해할 수 있지만 가슴으로 느끼기에는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그 시간을 줄이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혁명은 증산상제님의 갑옷을 입고 행하는 성사재인이다
※ 밀알가입은 hmwiwon@gmail.com (개인신상은 철저히 보호됩니다)
※ 군자금계좌: 농협 356-0719-4623-83안정주
※ 통합경전계좌 : 국민은행 901-6767-9263노영균sjm5505@hanmail.net
※ 투자금 계좌: 하나은행 654-910335-99107 안정주

게리 16-09-27 15:35
 
현 당진군 신평면 한정리 지역인 원머리, 새터, 용성이라는 곳에 병인박해시
이미 교우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원머리에는 적어도 1850년대에 교우촌을 이루고 있었다;;;.
게리 16-09-27 15:37
 
현재의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대석리에 태어나 살았던 것이다. 이 곳에 전국각지의 많은 젊은이들이
그 문하에 모여들 정도로 권철신이 당대 최고의 학자 중의 하나였으므로, 권철신, 권일신 형제의 영향으로
많은 천주교 신자가 배출되었다;;;.
게리 16-09-27 15:39
 
이 주교는 구산본당 공동체의 일치와 화합을 강조하면서 "소수라 할지라도 옛 구산성당을 원형
이동해 계속 보존하는 것을 소망하는 신자들이 있다면, 본당 신자들의 일치를 위해 소망이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말했고, 김 주임신부가 이런 뜻을 받아 원형이동 추진을 재공지하면서 극적 반전을 이룬 것으로 전했다;;;.
늘배움 16-09-27 19:54
 
마르코는 모친의 뜻을 좇아 진실히 수계하면서 모친과 함께 동네 교우와 연락하고 지냈다.
늘배움 16-09-27 19:54
 
권일신의 친아들로 권철신의 양자가 되었었고, 순교한 권상문(權相問,세바스티아노,1769~1802)의 고향이기도 하다.
늘배움 16-09-27 19:55
 
이에 따라 구산성당은 지금 위치에서 150m 정도 떨어진 이전 부지에 성당 바닥을 제외한
상태로 벽체와 지붕 종탑을 옮긴 뒤 시멘트벽돌 조적(組積) 벽면을 보강하게 된다.
밀알 16-09-27 20:07
 
"마르코는 모친의 뜻을 좇아 진실히 수계하면서 모친과 함께 동네 교우와 연락하고 지냈다.
신부 오시어 성사를 받으려하면 부친이 금하는 고로 이를 꺼리더니 무진년(1868년)에 수원 포교에게
체포되기에 이르렀다. 본래 그의 집은 세간이 있고 본읍에 권도가 조금 있었다.
밀알 16-09-27 20:08
 
마티아는 배교함을 뉘우치고 성교함을 바로 설명하였다 .옥에 갇힌 지 15일 후 포교들은 그 들을
교(絞)하여 죽였는데,죽은 후 시체를 찾아 본 곳(원머리)에 장사하니 시체 정결함이 산 이와 같았다.
이때 마르코의나이는 33세 였고 그의 사촌 마티아의 나이는 50세 였다." 1989년 4월 4일
신평 성당 구내로 옮겨 모셨다.
밀알 16-09-27 20:09
 
윤유일의 순교 이후에도 신앙 생활을 굳건히 하던 윤유오와 사촌동생 윤점혜, 윤운혜도 결국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였다. 특히 언니 윤점혜는 최초 의 여회장인 강완숙(姜完淑, 골롬바, 1760~1801)을
도와 여성 신자들의 교육에 힘썼었을 뿐만 아니라 동정녀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밀알 16-09-27 20:09
 
윤운혜는 정광수(鄭光受, 바르나바, ?~1801)와 혼인하여
교리서와 성물을 보급하는 데에 앞장섰던 최초의 양반 부부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호반도시 16-09-27 21:57
 
현 당진군 신평면 한정리 지역인 원머리, 새터, 용성이라는 곳에 병인박해시 이미 교우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원머리에는 적어도 1850년대에 교우촌을 이루고 있었다.
이곳은 염전과 논농사를 주로하며 살던 곳으로 박씨, 조씨 등이 박해 때 복음을 전파함으로서 교우촌이 형성되었다
호반도시 16-09-27 21:58
 
조숙, 권 데레사 동정 부부는 1801년에 순교한 이순이 루갈다와 유중철 요한 동정 부부(전주 중바위 성지 참조)와
쌍벽을 이루는 분들이다. 이 동정 부부는 모두 양근 출신으로 조숙은 조동성 유스티아노의 친척이고, 권 데레사는
권일신의 딸이다. 이들 두 동정 부부는 1819년 5월 21일 참수로 순교하 였다. 권 데레사의 머리를 찾아다가
성녀 조증이 발바라의 집 대바구니에 담아 두었는데, 그 바구니를 열면 향기가 진동하였다고 달레는 전하고 있다.
호반도시 16-09-27 21:59
 
구신자를 중심으로 1956년 건축 당시 원형을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지난 7월 150여m 떨어진 새 부지로 원형이전 보존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선유도 16-09-28 07:18
 
순교자 박 마르코는 본래 원머리 사람으로 열심한 모친으로부터 신앙을 받아들였다.
그의 아우 박 요셉은 1920년대에 형의 순교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마르코는 모친의 뜻을 좇아 진실히 수계하면서 모친과 함께 동네 교우와 연락하고 지냈다. 신부 오시어 성사를
받으려하면 부친이 금하는 고로 이를 꺼리더니 무진년(1868년)에 수원 포교에게 체포되기에 이르렀다.
본래 그의 집은 세간이 있고 본읍에 권도가 조금 있었다.
선유도 16-09-28 07:19
 
이웃인 권철신의 문하에 들어간 윤유일은 학문을 연구하면서 자연스럽게 스승을 따라 천주교에 입교하기에
이른다. 영세 후 그는 조선 신자 대표로 북경(北京)을 방문하여 1790년 북당(北堂) 성당에 서 세례를 받았고,
이어서 그는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견진성사를 받았다.
선유도 16-09-28 07:20
 
양근 권씨 집안의 제자였던 이존창과 류항검은 이후 자신들의 고향인 '여사울'(餘村, 현 충남 예산군 신종면 신암리)과
'초남'(草南, 현 전북 완주군 이서면 남계리)을 중심으로 각각 복음을 전파하였다. 그 결과 이존창은 내포(內浦)의
사도로, 류항검은 전라도의 사도로 일컬어지게 되었다. 한강개 마을에서 비롯된 천주교 신앙이 수표교와 명례방에
이어 여사울과 초남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각설탕 16-09-28 08:29
 
신앙 선조들의 순교 기록에 보이는 '양근'이라는 지명은 대체로, 초기 한국 천주교회 지도자
권철신(權哲身,암브로시오,1736~1801), 권일신(權日身,프란치스코 사베리오, 1742~1792) 형제의
고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현재는 양평군이다. 권일신의 친아들로 권철신의 양자가 되었었고,
순교한 권상문(權相問,세바스티아노,1769~1802)의 고향이기도 하다.
각설탕 16-09-28 08:30
 
앵자봉 자락의 주어사(走魚寺)와 천진암(天眞庵)이었다.
양근 권씨 집안의 제자였던 이존창과 류항검은 이후 자신들의 고향인 '여사울'(餘村, 현 충남 예산군 신종면 신암리)과
'초남'(草南, 현 전북 완주군 이서면 남계리)을 중심으로 각각 복음을 전파하였다. 그 결과 이존창은 내포(內浦)의
사도로, 류항검은 전라도의 사도로 일컬어지게 되었다. 한강개 마을에서 비롯된 천주교 신앙이 수표교와
명례방에 이어 여사울과 초남으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각설탕 16-09-28 08:30
 
“행사 참여 회원들 각자의 후원금과 함께 참여 회원의 후원자들이 km당 1000원의
후원금을 기부해 우리 주위의 어렵고 힘든 분들께 작은 힘이나마 보태려고 하는
후원금 모집 성격이 동반된 행사”라고 밝혔다.
겨울 16-09-28 14:28
 
수원에서 고문을 다할 때 마티아가 이를 못이겨 배교하려 하자 마르코는 '대주를 배반하고 영벌을 받으려 하느냐?'고
깨우치도록 하였으니, 이에 마티아는 배교함을 뉘우치고 성교함을 바로 설명하였다 .
겨울 16-09-28 14:29
 
2004년 6월 이 곳을 방문하였을 때는 권철신의 방계 후손인 권일수(요셉) 신부가 성지 개발을 전담하 고 있었다.
권철신의 생가터인 대감마을과 주어사를 포함한 한국 천주교회의 요람지이면서 순교지인 이곳을 종합 개발하려는
전담신부의 외로운 노력에 많은 교우들의 동참이 절실하게 보였다.
겨울 16-09-28 14:30
 
이후 원형이동 작업이 추진되던 지난 19일 김 주임신부가 재정 및 기술적 문제를 들어
원형이동 포기와 신축복원을 결정해 전격 공지하면서 철거될 상황에 몰린 바 있다.
산백초 16-09-28 16:25
 
옥에 갇힌 지 15일 후 포교들은 그 들을 교(絞)하여 죽였는데,죽은 후 시체를 찾아
본 곳(원머리)에 장사하니 시체 정결함이 산 이와 같았다. 이때 마르코의나이는 33세
였고 그의 사촌 마티아의 나이는 50세 였다." 1989년 4월 4일 신평 성당 구내로 옮겨 모셨다.
산백초 16-09-28 16:25
 
윤점혜 아가다는 윤유일의 4촌 여동생으로 천주교를 신앙하기 위해 처녀의 몸으로 밤에 몰래
서울로 도망쳐와 강완숙의 집에 머물며 동정녀 소공동체를 만들고 동정녀들을 지도하였고,
고향 양근으로 이송되어 참수할 때 목에서 흰피가 나왔다고 한다.
산백초 16-09-28 16:27
 
구산성지(2001년 향토유적 지정)는 보존 결정이 난 반면, 구산성당은 존치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Total 9,905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공지 1• 3 • 5 프로젝트 통장을 드디어 공개합니다. (70) 혁명위원회 09-12
공지 진법일기 70- 1.3.5 프로젝트가 의미하는것은 무엇인가? (61) 이순신 09-19
공지 혁명을 하면서~ <아테네의 지성! 아스파시아와 페리클레스> (12) 현포 07-31
공지 히틀러,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15) FirstStep 06-23
공지 <한 지경 넘어야 하리니> (21) 고미기 07-28
공지 트럼프, 폼페이오, 볼턴을 다루는 방법들 (32) 봉평메밀꽃 07-18
공지 판소리의 대표적 유파로 '동편제'와 '서편제'가 있습니다. (27) 흰두루미 06-20
공지 소가 나간다3 <결結> (24) 아사달 03-20
2348 다 함께 말복을 열어나가길~기원하며~~ (37) 향수 09-24
2347 [책소개] 적게 벌어도 잘 사는 여자의 습관 - 현실적인 여자가 더 잘사는 이유 (43) FirstStep 09-24
2346 가을의 문턱에서... 상제님신앙, 그리고 본래면목에 대한 독백 (46) 현포 09-24
2345 진법일기 71- 중국은 왜 북한에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할까? (42) 이순신 09-24
2344 엉상수필2 원효봉에 오르며 (43) 키프러스 09-25
2343 빠다킹 신부 - 9월 25일 연중 제26주일 (23) 게리 09-25
2342 심흥보 신부, 류한영 신부, 박상대 신부 - 연중 제26주일 (22) 게리 09-25
2341 천주교 성지 - 54. 마산교구 신석복 마르코 묘소/ 55. 안동교구 신앙 고백비 (26) 게리 09-25
2340 1. 화서 이항로의 삶과 사상 (28) 선유도 09-26
2339 2. 화서 이항로의 삶과 사상 (30) 선유도 09-26
2338 그냥 지금 돌아가시오 (18) 밀알 09-26
2337 [벽암록] 제70칙 白丈倂卻咽喉 - 백장화상이 입과 목을 막고 말하게 하다 (24) 호반도시 09-26
2336 [불교란 무엇인가] - 수행의 바탕 (27) 호반도시 09-26
2335 [국방개혁] 좋은 약은 입에 쓴가? 블로그 활동 시작 배경과 의미!!!! (35) 현포 09-26
2334 [국방개혁] 거짓말쟁이거나 전문성이 없어 보이는 대한민국 안보 책임자들!!! (38) 현포 09-26
2333 가을편지 (14) 옥수 09-26
2332 1. 성리학 몸으로 실천한 철인(哲人) 노사 기정진 (32) 선유도 09-27
2331 2. 성리학 몸으로 실천한 철인, 노사 기정진 (31) 선유도 09-27
2330 9월 27일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 기념일 (24) 게리 09-27
2329 강영구 신부, 박상대 신부, 류한영 신부 - 연중 제26주간 화요일 (26) 게리 09-27
2328 천주교 성지 - 56. 대전교구 신평성당 /57. 수원교구 양근 (25) 게리 09-27
2327 1등보다 더 값진 3등 . 나눔에서는 저희가 1등이에요 (21) 밀알 09-27
2326 상제님 대업을 이루는 말복도정~~~ (35) 향수 09-27
2325 [碧巖錄] 제71칙 白丈問五峰 - 백장화상이 오봉의 안목을 점검하다 (25) 호반도시 09-27
2324 [불교란 무엇인가] - 수행의 지침서 (25) 호반도시 09-27
2323 1. 영남 최후의 성리학자-한주 이진상 (29) 선유도 09-28
2322 2. 영남 최후의 성리학자 한주 이진상 (27) 선유도 09-28
2321 김영란 법 9월 28일 드디어 시행 Q&A (21) 각설탕 09-28
2320 9월 28일 연중 제26주간 수요일 (21) 게리 09-28
2319 류한영 신부, 오종섭 신부, 김병환 신부 - 연중 제26주간 수요일 (22) 게리 09-28
2318 천주교 성지 - 58. 수원교구 어농 /59. 부산교구 언양성당 - 신양유물 전시관 (24) 게리 09-28
2317 韓國人의 化粧室 文化(뒷깐 문화) (23) 해오 09-28
2316 왜 나는 다르게 생겼나요. 거울과 창문 (22) 밀알 09-28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